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자연, 美 PATH 연구소와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위한 MOU 체결

▶한자연, PATH 연구소와 협력자율주행 및 VRU 안전도 기술 고도화 MOU 체결

입력 : 2024.04.18 18:56 수정 : 2024.04.18 19:01
한자연, 美 PATH 연구소와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위한 MOU 체결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버클리대학교에서 체결된 MOU 서명식 (좌측부터 차례대로) 다니엘 로드리게스 UC버클리대학교 교통연구소장, 나승식 한국자동차연구원 원장(출처=한국자동차연구원)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국자동차연구원(원장 나승식, 이하 한자연)이 미국 버클리 대학교 교통연구소(소장 다니엘 로드리게스) 소속 PATH 연구소와 손잡고 협력자율주행 및 도로교통약자(VRU, Vulnerable Road Users) 안전도 기술 고도화와 한-미 간 연구협력 강화에 앞장섭니다.

 

나승식 한자연 원장과 다니엘 로드리게스 UC버클리 교통연구소 소장은 지난 17(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버클리 대학교에서 협력자율주행 및 VRU 안전도 향상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PATH (California Partners for Advanced Transportation Technology)1986년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캘리포니아 교통시스템 솔루션 개발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캘리포니아 교통부, UC버클리대학교, 민간산업, 사립 연구기관으로 구성된 연구기관입니다.

 

대표적으로 협력자율주행차 안전, 인공지능, 차량인식을 위한 딥러닝, 교통운영, 시뮬레이션, 대중교통 솔루션 등 혁신적인 지능형교통시스템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번 MOU를 통해 한자연과 PATH는 협력자율주행과 VRU 안전시스템의 공동 개발 및 한-미 간 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한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갈 전망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협력 자율주행 및 VRU 안전 시스템과 관련하여 하이브리드 V2X 및 인프라 센서가 장착된 노변기지국(Sensor-equipped RSU)기반 VRU 안전 시스템 개발 협력 자율주행 시스템과 VRU 안전 시스템을 연계한 도로 안전도 향상 기술 개발 교통 영향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국제 공동 R&D 프로젝트 조직 및 참여 등을 수행할 계획입니다.

 

나승식 한자연 원장은 협력자율주행 및 VRU 안전도 향상 기술은 스마트 모빌리티의 핵심으로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V2X를 활용한 차세대 협력자율주행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라며 “PATH와의 협력을 통해 관련 기술의 상용화뿐만 아니라 한-미 산학연 간 연구를 잇는 교두보 역할을 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