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REC 2024] 전국유아특수교사연합, “특수교육대상유아 위해 에듀테크 함께 논의해야”

▷ 김현숙 전국유아특수교사연합회 회장

입력 : 2024.06.15 17:23 수정 : 2024.06.18 11:11
[REC 2024] 전국유아특수교사연합, “특수교육대상유아 위해 에듀테크 함께 논의해야” 김현숙 전국유아특수교사연합회 회장 (출처 = 위즈경제)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편집자주: 본 기사는 위즈경제와 테크월드뉴스의 공동 취재기사입니다]  

“과거에는 글로써 정보를 얻었다면 이제는 디지털 기기를 학습하고 정보를 찾는 것이 중요해졌다. 특수교육대상 영유아의 에듀테크 가능성을 함께 고민하고 국가 정책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전국유아특수교사연합회(연합회) 김현숙 회장은 15일 서울 중구 KG타워에서 영유아 보육·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고찰하기 위해 열린 ‘REC(Rebuilding Education Conference) 2024’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합회는 전국의 유치원, 특수학교, 특수교육 지원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들의 교원단체로 특수교육대상 영유아의 교육권을 보호하고 교사들의 교육 실천과 연구를 공유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지원, 각종 교육정책을 개발 및 제안함으로써 특수교육대상 영유아 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에듀테크로 통하는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미래교육’라는 주제로 발표한 김 회장은 “지금 유치원 아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모바일 환경과 문화에 노출됐다.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운을 뗐다.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에듀테크도 발전하고 있다. 특히 교육 환경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모습으로 흘러가는 모양새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도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2022년)’을 중심으로 2026년까지 총 100만명의 인재 양성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주로 초·중등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수교육 관련 정책은 별도로 제시되지 않는 실정이다. 특수교육대상 영유아는 이 과정을 제공받지도 못하는 셈이다. 

 

김 회장은 “아쉽게도 특수교육대상 영유아를 위한 내용은 많은 곳을 뒤져봐도 찾기 힘들다”“디지털·모바일 네이티브라고 불리는 새로운 세대의 교사로서 권리와 의무를 다하도록 해야 한다. 이런 논의에 특수교육대상 영유아가 소외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에 김 회장은 특수교육대상 영유아의 교육도 에듀테크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솔루션, 하드웨어 시스템 등 기술을 이용해 더 나은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구체적으로 ▲시각장애(스마트글래스,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디지털 지팡이) ▲청각장애(음성인식 및 변환기술, 수어 및 자막생성 기술) ▲지체장애(자율주행 전동 휠체어) ▲발달장애(AI 기반행동관찰)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출처 = 위즈경제)

 

 

김 회장은 “에듀테크 효과에 대한 의견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한계와 장애를 넘고 사고와 경험을 확장해 학습자 중심의 정교한 교육 현장을 이룰 수 있다고 본다” “한계를 넘는다는 것은 교실이라는 물리적 환경을 넘고 교육 대상이 가진 장애를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정책을 통해 일정한 수준의 질이 확보되야 하며 진단평가, 문제행동 중재, 독립성과 접근성 증진을 위해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교육적 도구뿐 아니라 보조공학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교사 역시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역량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교육부 후원을 받아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위즈경제·테크월드 뉴스 등 REC 조직위원회가 주최·주관했다. 영유아교사협회, 전국국공립유치원교사노동조합, 전국유아특수교사연합, 전국특수교사노동조합,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민간분과위원회, 한국유치원총연합회 등 6개 단체와 VMS 전문기업 이노뎁이 참여했다.

 
조중환 사진
조중환 기자  highest@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2

중증 발달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은 탁상행정입니다. 실상을 모르니까 탈시설이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겁니다. 최소한의 신변 처리도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에게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삶의 자리입니다.

3

일반 성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현저히 낮고, 사고발생율이 50% 더 높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재난에는 특히 더 취약하여 자립지원주택에서는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에 노출된 이들을 의료 인력이 충분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에서 편안히 거주하게 해야 한다”

4

자립불가능한 장애인을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요??? 그들이 부르짖는 인권은 이권의 다른 이름입니다 누가 2살의 말도 못하고 죽음도분별하지못해 도로로 뛰어드는 중증장애인을 자립하라고 합니까??? 전장연과 부모연대는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5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으로 이루어진 단체. 지체장애인들은 인지가 비장애인과 같습니다. 자립의 대상은 지체장애인이며, 전국의 너느 거주시설에도 지체장애인은 없습니다. 즉 지체장애인단체인 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6

유호준 의원은 중증장애인과 단 하루라도 살아보고 자립지원조례안을 만들어 보시오. 중증장애인들과 뭘 어떻게 어느만큼 소통하고 이런 정책을 만들었는지 한심하다 못해 우리의 세금으로 이런 의원들의 세비까지 줘야하는 현실이 매우 부끄럽고 참담합니다.

7

모든 장애인의 장애 정도가 다 동등하지 않습니다. “의사표시와 활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경증장애인, 그것이 거의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책은 달라냐합니다.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들은 자립하고, 사회적 인지기능이 3세정도인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에서 보호받아야 합니다. 거주시설은 반드시 존치되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