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국민 하루 나트륨 섭취량 3,074mg... WHO 권고기준 1.5배 초과

▷ 2022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66.8%는 집에서 나트륨 섭취
▷ 당류 섭취량은 WHO 권고 기준보다 낮은 58.3g

입력 : 2024.05.30 17:07 수정 : 2024.05.30 16:16
국민 하루 나트륨 섭취량 3,074mg... WHO 권고기준 1.5배 초과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의 하루 나트륨 섭취량이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기준에 비해 1.5배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당류의 경우 WHO 권고기준 보다 낮은 수준이나 일부 어린이·청소년 연령층에서는 권고기준을 초과했는데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3,074mg을 기록했습니다.

 

2018년 이후 우리나라 국민들의 나트륨 섭취량은 국·탕류, 찌개·전골류, 김치류 등을 비교적 적게 먹으면서 점차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만, WHO가 권고하는 나트륨의 양(2,000mg/)을 여전히 상회하는 수준인데요.

 

우리나라 국민의 66.8%는 가정에서 조리한 음식으로부터 대부분의 나트륨을 섭취했습니다. 2022년 기준 하루 평균 1,962mg의 나트륨을 집에서 얻은 셈인데요. 직접조리한 비율이 66.7%, 즉석섭취가 13%, 배달·포장이 12.5%, 간편조리(7.6%) 등의 순을 기록했습니다.

 

음식을 비교적 짜게 만들어서 먹는 사람들이 많은 셈인데요. 눈에 띄는 점은 1인 가구 증가세에 힘입어 가정 내 배달·포장 음식과 간편조리 음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이 최근 크게 증가했다는 겁니다. 식약처는 가정 내 간편조리 음식(전자레인지 등 가열 등만 사용)의 나트륨 섭취량은 1인 가구가 다인 가구보다 높고 증가 경향도 뚜렷하다고 설명했습니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이 하루 평균 섭취하는 당류의 양은 58.3g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가공식품으로부터 얻는 양이 34.6g입니다. WHO는 하루에 2,000kcal의 음식을 섭취할 경우, 당류 섭취량은 50g이 적정하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는 무게가 3g인 각설탕의 16~17개 수준, 칼로리의 약 10% 비중인데요.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보다 높습니다. 당류를 적정한 수준에서 섭취하고 있는 셈인데요.

 

특이한 점은 음료류를 해서 당류를 섭취하는 비중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당류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제로열풍과 관련이 깊은데요.

 

탄산음료류의 섭취량은 2018년 하루 42.8g에서 2022 45.8g으로 증가하였는데, 탄산수·제로칼로리 탄산음료 섭취량 역시 같은 기간 0.8에서 12.2g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커피도 비슷합니다.

 

커피류 섭취는 증가 추세에 있는데, 당류가 포함된 믹스커피 대신 블랙커피 등의 섭취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믹스커피 섭취량은 2018년 하루 14.2g에서 2022 13.8g으로 감소한 반면, 블랙커피 섭취량은 같은 기간 70.4g에서 111.1g으로 늘어났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가공식품으로부터 당류를 39.4g, 여성이 29.7g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만, 연령 별로 보면 여자 어린이(6~11)와 여자 청소년(12~18), 여자 청년(19~29) WHO의 당류 권고 섭취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여성 청소년의 당류 섭취량은 다른 성별·연령대 중에서 가장 높았는데요.

 

여자 어린이는 케이크류 등 빵류, 여자 청소년은 음료류 중 과일·채소류 음료, 여자 청년은 당 함량이 높은 아이스티 등을 통해 당류 섭취가 늘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나트륨과 당을 줄이는 것을 권고하는 한편,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지난해엔 기술지원 사업을 통해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보다 나트륨·당류 함량을 10% 이상 줄인 김밥, 농후발효유 등 11개 저감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한 바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曰 앞으로도 주기적인 국민의 나트륨·당류 섭취 실태조사와 이에 기반한 식생활·영양안전 정책을 통해 우리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코아스 어떻게 이화그룹주식을 매집했을까 자기회사도 자본잠식 상태로 빠제허우적되는데 자기이익을 위해 했는데 그게. 잘되지 읺으니깐 이화 그룹주주 연대 들먹이면서. 우리를 보호한다고. 말도 안도는 소리를. 하면서 상장폐지 되기전에 고민하고 주주연대와 이야기하고 해법을 찿아야지 자기들이. 불리하니깐 이제와서 먼소리 하는건지 어처구니 없네 돈에 미쳐가는 사람들은 모든게 돈으로 만보이는법이다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는. 이치를 아직도 모르고있구나 진정으로 자기성찰을 해보시요

2

코아스나 이화그룹 3사나 주주들 가지고 노는건 도낀개낀이네 피해주주 구제할 생각이였다면 상장폐지 되기전에 했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정리매매 기간에 헐값에 주식사들여 경영권 장악 하려다 차질 생기니 이제와서 피해주주들을 생각하는척 하네 지금이라도 정의 실현 할라치면 이화주주연대에 진심어린 협조를 구해 보는건 어떨지? 세상만사 너무 쉽게 보는 코아스네

3

코아스의 진정성 이슨 사과와 피해복구를 원합니다

4

코아스의 정의는 이화그룹사태로 벼랑에 내몰린 주주들의 피눈물을 밟고서 부르짖는 헛소리에 있고 이화그룹의 정의는 피해주주들을 외면하는곳에 있는가?

5

코아스는 언젠가 그대로 돌려받을 것이다. 힘없는 주주들 그것도 정리매매때 인수해놓고 지분모자라니 소액주주연대타령을 해대는구나. 꺼져라.. 이화그룹3사는 마지막 기회다. 진정성 있는 사과와 아직까지 남아있는 이화그룹주주연대 2년 5개월을 버텨온 진성주주들과 협의하고 실질적인 보상안을 마련해라

6

자본완전잠식으로 신규 차입금으로 상폐 정매기간에 이화그룹을 먹어보겠단 심상인데, 본인들 회사먼저 정상화 시켜놓지ㅠㅠ 개수작들그만하고 진실된 사과와 반성이 먼저 아닌가?

7

주주들의 피눈물로 이득을 취하려는 코아스는 반성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