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줄어드는 성인 독서량... "일하느라 읽을 시간 없다"
▷ 2023년 국민 독서실태조사, 성인 연간 독서량 3.9권, 독서율 43%
▷ 학생 독서량은 증가... 연령대 별로는 20대의 독서율이 74.5%로 가장 높아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성인의 연간 종합독서량은 3.9권, 종합독서율은 43%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에 비해 각각 0.6권, 4.5%p 줄어든 규모로 지난 2013년 이후 꾸준히 하향세를 타고 있습니다.
★연간 종합독서율: 지난 1년간
교과서·학습참고서·수험서·잡지·만화를 제외한 일반도서를 1권 이상 읽거나 들은 사람의 비율 (종이책, 전자책, 오디오북
포함)
★연간 종합독서량: 지난 1년간 읽거나
들은 일반도서 권수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5,000명과 초·중·고등학생 2,400명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국민 독서실태’에 따르면, 성인의 독서량은 줄어든 반면 학생의 독서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년간(2022년 9월 1일부터 2023년 8월 31일) 초·중·고교 학생의 종합독서율은 95.8%, 연간 종합독서량은 36권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과 비교하면 학생의 종합독서율은 4.4%p, 종합독서량은 1.6권 늘었는데요.
연령대로 보면, 20대(19~29세)의 종합독서율이 성인 중에선 가장 높게(74.5%) 나타났습니다.
2019년과 2021년에 성인 연령대 중에서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가장 낮은 독서율을 보였던 50대(50~59세)의 경우, 2023년엔 1.2% 증가한 36.9%의 종합독서율을 기록했습니다.
평일 기준 하루 평균 독서시간은 성인이 18.5분 학생이 82.6분으로 나타났으며, 종합독서율 및 종합독서량과 마찬가지로 성인은 하향세, 학생은 상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대비 성인은 1.9분 감소, 학생은 10.5분 증가했습니다.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독서에 대한 인식’입니다. 성인(67.3%)과 학생(77.4%) 대부분이 독서가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성인의 독서량 자체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독서를 가로
막는 장애요인이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는데요.
★2023년, 우리나라 성인/학생이 책을 읽는 이유
1위: 마음의 성장을 위해(24.6%) / 학업에 필요해서(29.4%)
2위: 책 읽은 것이 재미있어서 (22.5%) / 책 읽는 것이 재미있어서(27.3%)
3위: 자기계발을 위해서(21.4%) / 자기 계발을 위해서 (13.9%)
독서의 장애요인으로서, 성인과 학생의 과반수가 ‘일(공부)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 ‘다른 매체·콘텐츠 이용’, ‘독서습관 부족’을 3대 장애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이 중 ‘다른 매체·콘텐츠 이용’의 경우, 스마트폰과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OTT)의 이용률 증가가 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2021년 123분에서 2023년엔 126분으로 3분 늘었으며, OTT 이용률은 같은 기간 69.5%에서 77%로 7.5%증가한 바 있습니다.
평소 독서를 하지 않는 비(非)독서자의
경우 독서자에 비해 ‘책 읽는 습관이 들지 않아서’, ‘시력이
나빠 글이 잘 보이지 않아서’, ‘책 읽기가 재미없어서’ 등의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습니다.
독서의 세대간, 소득간 차이는 여전했습니다.
60세 이상 고령층의 종합독서율은 15.7%로 가장 높은 독서율을 자랑하는 20대(74.5%) 격차가 컸습니다.
월 평균 소득 200만 원 이하의 저소득층 독서율은 9.8%,
월 평균 소득 500만 원 이상의 고소득층 독서율인
54.7%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문체부는 “성인의 독서율, 독서량, 독서 시간 등 독서지표의 하락은 독서문화 진흥 정책의 숙제로 남았다”며, “올해 시행되는 ‘제4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2024~2028)’의 정책과제를 내실 있게 추진해 비독자가 독자로 전환될 수
있도록 책 읽는 문화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는데요.
문체부의 ‘제4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의 목표는 ‘독서의 저변 확대’입니다. 성인 중 과반이 1년에 책을 한 권도 보지 않는 현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비독자를 독자로 전환시키겠다는 겁니다. △독서가치
공유 및 독자 확대 △독서습관 형성 지원 △독서환경 개선
△독서문화 진흥 기반 고도화라는 4대 추진전략과 12개 정책과제를 도출했는데요.
문체부가 이번 계획을 통해 목표하는 독서율은 2028년 기준 50%입니다. 독서량은 지난해 기준 3.9권에서 2028년 7.5권까지 늘리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 曰 “독서율 하락 추세를 엄중히 인식하고 있으며 독서·인문·문학·도서관 정책
간 연계, 타 부처(기관)와의
협력, 민간과의 소통 강화 등 향후 독서문화를 진흥하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제4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 발표는
그 노력의 시작이며 독서진흥 예산 확대를 위한 노력과 함께 문화진흥 정책, 도서관 진흥 정책도 연속적으로
발표해나가겠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