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줄어드는 성인 독서량... "일하느라 읽을 시간 없다"
▷ 2023년 국민 독서실태조사, 성인 연간 독서량 3.9권, 독서율 43%
▷ 학생 독서량은 증가... 연령대 별로는 20대의 독서율이 74.5%로 가장 높아
![갈수록 줄어드는 성인 독서량... "일하느라 읽을 시간 없다"](/upload/46c60f8ca2fc431aad81e28e993bfdfe.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성인의 연간 종합독서량은 3.9권, 종합독서율은 43%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에 비해 각각 0.6권, 4.5%p 줄어든 규모로 지난 2013년 이후 꾸준히 하향세를 타고 있습니다.
★연간 종합독서율: 지난 1년간
교과서·학습참고서·수험서·잡지·만화를 제외한 일반도서를 1권 이상 읽거나 들은 사람의 비율 (종이책, 전자책, 오디오북
포함)
★연간 종합독서량: 지난 1년간 읽거나
들은 일반도서 권수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5,000명과 초·중·고등학생 2,400명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국민 독서실태’에 따르면, 성인의 독서량은 줄어든 반면 학생의 독서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1년간(2022년 9월 1일부터 2023년 8월 31일) 초·중·고교 학생의 종합독서율은 95.8%, 연간 종합독서량은 36권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과 비교하면 학생의 종합독서율은 4.4%p, 종합독서량은 1.6권 늘었는데요.
연령대로 보면, 20대(19~29세)의 종합독서율이 성인 중에선 가장 높게(74.5%) 나타났습니다.
2019년과 2021년에 성인 연령대 중에서 60세 이상을 제외하고 가장 낮은 독서율을 보였던 50대(50~59세)의 경우, 2023년엔 1.2% 증가한 36.9%의 종합독서율을 기록했습니다.
평일 기준 하루 평균 독서시간은 성인이 18.5분 학생이 82.6분으로 나타났으며, 종합독서율 및 종합독서량과 마찬가지로 성인은 하향세, 학생은 상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대비 성인은 1.9분 감소, 학생은 10.5분 증가했습니다.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독서에 대한 인식’입니다. 성인(67.3%)과 학생(77.4%) 대부분이 독서가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했음에도 불구하고, 성인의 독서량 자체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독서를 가로
막는 장애요인이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는데요.
★2023년, 우리나라 성인/학생이 책을 읽는 이유
1위: 마음의 성장을 위해(24.6%) / 학업에 필요해서(29.4%)
2위: 책 읽은 것이 재미있어서 (22.5%) / 책 읽는 것이 재미있어서(27.3%)
3위: 자기계발을 위해서(21.4%) / 자기 계발을 위해서 (13.9%)
독서의 장애요인으로서, 성인과 학생의 과반수가 ‘일(공부)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 ‘다른 매체·콘텐츠 이용’, ‘독서습관 부족’을 3대 장애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이 중 ‘다른 매체·콘텐츠 이용’의 경우, 스마트폰과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OTT)의 이용률 증가가 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하루 평균 이용시간은 2021년 123분에서 2023년엔 126분으로 3분 늘었으며, OTT 이용률은 같은 기간 69.5%에서 77%로 7.5%증가한 바 있습니다.
평소 독서를 하지 않는 비(非)독서자의
경우 독서자에 비해 ‘책 읽는 습관이 들지 않아서’, ‘시력이
나빠 글이 잘 보이지 않아서’, ‘책 읽기가 재미없어서’ 등의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습니다.
독서의 세대간, 소득간 차이는 여전했습니다.
60세 이상 고령층의 종합독서율은 15.7%로 가장 높은 독서율을 자랑하는 20대(74.5%) 격차가 컸습니다.
월 평균 소득 200만 원 이하의 저소득층 독서율은 9.8%,
월 평균 소득 500만 원 이상의 고소득층 독서율인
54.7%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문체부는 “성인의 독서율, 독서량, 독서 시간 등 독서지표의 하락은 독서문화 진흥 정책의 숙제로 남았다”며, “올해 시행되는 ‘제4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2024~2028)’의 정책과제를 내실 있게 추진해 비독자가 독자로 전환될 수
있도록 책 읽는 문화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는데요.
문체부의 ‘제4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의 목표는 ‘독서의 저변 확대’입니다. 성인 중 과반이 1년에 책을 한 권도 보지 않는 현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비독자를 독자로 전환시키겠다는 겁니다. △독서가치
공유 및 독자 확대 △독서습관 형성 지원 △독서환경 개선
△독서문화 진흥 기반 고도화라는 4대 추진전략과 12개 정책과제를 도출했는데요.
문체부가 이번 계획을 통해 목표하는 독서율은 2028년 기준 50%입니다. 독서량은 지난해 기준 3.9권에서 2028년 7.5권까지 늘리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 曰 “독서율 하락 추세를 엄중히 인식하고 있으며 독서·인문·문학·도서관 정책
간 연계, 타 부처(기관)와의
협력, 민간과의 소통 강화 등 향후 독서문화를 진흥하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제4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 발표는
그 노력의 시작이며 독서진흥 예산 확대를 위한 노력과 함께 문화진흥 정책, 도서관 진흥 정책도 연속적으로
발표해나가겠다”
![%EC%A0%9C4%EC%B0%A8%2B%EB%8F%85%EC%84%9C%EB%AC%B8%ED%99%94%EC%A7%84%ED%9D%A5%2B%EA%B8%B0%EB%B3%B8%EA%B3%84%ED%9A%8D%2B%EC%A0%95%EB%B3%B4%EA%B7%B8%EB%A6%BC.jpg](/upload/2c55d313-aa27-44aa-99b4-5a282b1e1221.jpg
)
![김영진 사진](/upload/c470f77c166443ab869a854538f91aaf.png)
댓글 0개
Best 댓글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