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식물에서 발견한 탈모인들의 새로운 희망
▷ 매년 증가하는 탈모증 환자... 천만 명 추산
▷ 남성호르몬 변화 억제하는 탈모약 치료제
▷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로부터 효능 발견

모든 사람의 가장 큰 걱정거리 중 하나인 탈모, 국내에서 탈모인이 어느 정도 되는지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업계에선 대략 천 만명 수준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탈모증 분야의 권위자인 조남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우리나라
인구 중 대략 1천만 명 정도를 탈모로 보는 게 크게 틀리진 않은 것 같다”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20년 탈모증 질환으로 건강보험 진료를 받은 인구는 23.3만 명,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미용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만큼, 탈모증에 대한 고민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도 늘어날 가능성이 큰데요.
탈모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탈모는 남성호르몬이니 테스토스테론이 특정한 효소를 만나 DHT(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변하면서 생깁니다. 이렇게 변화하는 과정을 약물로 억제할 수 있는데요.
이
때, 남성호르몬도 같이 억제돼 성욕 감퇴, 발기 부전의 부작용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은 1~2%로 낮은
수준인데요.
탈모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점차 증가하는 가운데, 의료계에선 새로운
탈모 치료제의 가능성을 발견했습니다. 지난 2020년 8월부터 최근까지 환경부와 성균관대는 캄보디아의 야생식물인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를 연구했습니다.

연구진은 이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의 추출물을 탈모증이 있는 실험용 쥐에 투여했습니다.
그 결과 모발 성장이 촉진되고, 모발의 길이 및 굵기도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추출물 역시, 다른 탈모치료제와 유사하게 탈모 유발 효소(5-알파 환원요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모유두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참고로, 모유두세포는 모발의 생성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아주 중요한 세포입니다.
특히, 이 추출물은 미국 식약청(FDA)의
승인을 받은 탈모치료제 ‘피나스테리드’보다 우수한 효과를
냈습니다. 피나스테리드는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을 억제하고,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약물로, 미국 식약청에서 허가한 두 가지 탈모치료제 중 하나입니다.
이번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의 효능을 발견한 건 국내 탈모치료제 개발에 탄력을 주는 건 물론, 국내 생명공학 산업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병희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장은 “이번
캄보디아 야생식물 추출물 활용 연구로 해외 생물자원의 다양한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생명공학 산업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