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중국 방문한 재닛 옐런 장관, "中 과잉 생산 문제 해결해야"
▷ 재닛 옐런 美 재무장관, 중국의 과잉생산에 대해 경고
▷ 미국에선 중국에 대한 관세 인상 주장
![[외신] 중국 방문한 재닛 옐런 장관, "中 과잉 생산 문제 해결해야"](/upload/88c5560f0e174aacbf8f550587da1f65.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재닛 옐런(Janet Yellen) 미국 재무장관이 다시금 중국을 찾았습니다.
CNN에 따르면 5일, 옐런 총리는 중국 광저우에서 열린 회의에서 전기 자동차(EV)와 태양광 패널과 같은 핵심 산업에서 중국 제품이 과잉 공급되는 것을 언급했습니다.
옐런 장관은 양국의 건전한 경제관계가 서로에게 많은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선 “미국의 근로자와 기업에게 공평한 경쟁환경, 그리고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선 직접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I’ve
also emphasized that building a healthy economic relationship requires a level
playing field for American workers and firms, and open and direct communication
on areas where we disagree”)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여기에는 미국과 다른 국가들이 우려하는 중국의 산업적 과잉 생산 문제도 포함되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파급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And this
includes the issue of China’s industrial overcapacity, which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are concerned can cause global spillovers,” she said”)고
덧붙였습니다.
옐런 장관이 중국의 과잉 생산에 대해 일종의 경고성 문구를 날리자, CNN은 “이 이슈는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중요한 쟁점으로 급부상했다”(“The issue has quickly emerged as a major area of contention in the run-up to November’s US presidential election”)고 이야기했습니다. 중국이 시장에 과다하게 생산한 물품을 풀면서, 미국의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소비자들 입장에선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구하기도 쉬운 중국의 제품에 눈이 갈 수밖에 없고, 이 과정에서 미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의 산업은 점차 도태될 수밖에 없는데요.
대표적으로 중국 정부는 보조금을 지원하여 값싼 철강과 알루미늄을 세계 시장에 내놓고 있습니다. 옐런 장관은 이러한 중국의 과잉 생산이 시장의 질서를 왜곡하고, 미국의 기업과 노동자들에게 피해를 끼친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제조업을 살리기 위해서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전기차, 태양광, 배터리 등의 수출이 급증하면서 시장에서는 밀리는 형국입니다.
미국은 중국의 과잉 생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보다 강력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듯합니다.
옐런 장관은 중국이 계속해서 과잉 생산을 유지하면, 미국이 무역 장벽을 세울 것이냐는 질문에 “배제하지 않는다”(“wouldn’t want to rule out”)고 언급했습니다. 바이든 정부에서는 공정한 무역 시장을 만들기 위해 중국산 수입품에 붙는 관세를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역시 이번 11월 대선에서
성공하면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60% 부과하겠다고 전했는데요.
CNN은 중국 지도자들이 부진한 내수 경제를 살리기 위해 제조업 수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에 따라 무역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중국 정부는 부동산 시장의 어려움을 타파하기 위해 전기차, 배터리 등 신산업에 많은 양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데요.
릭 워터스(Rick Waters) 유라시아 그룹 중국 사업부 전무이사는 “중국은 전 세계 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으나, 소비는 6분의 1에 불과하다”(“China accounts for a third of global production but only a sixth of global consumption, and this reality risks breaking the global trading system”)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이 시장에 물건을 쏟아내는 만큼 중국도 물건을 사들여서 시장의 균형을 맞춰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공급이 수요를 한참 상회하면, 시장 질서는 당연히 흔들릴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한편, 옐런 장관은 과잉 생산 문제 뿐만 아니라, 불법 금융에 대한 대응 및 금융 안정성 등 글로벌 경제 현안을 중국과 논의할 예정인데요, CNN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글로벌 경제 현안에 대해 중국이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일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경제 정책을 수정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욱 강하게 밀고 나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