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소비자심리지수 1.2p 하락... '주택가격전망'은 반등
▷ 소비자심리지수 올해 들어 처음 감소
▷ '물가수준전망'과 '주택가격전망'은 상승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3월 소비자심리지수(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CCSI)가 100.7로 전월대비 1.2p 떨어졌습니다.
지난해 12월부터 상승세를 보이던 소비자심리지수가 올해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인 건데요.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현재경기판단 등 대부분의 구성지표가 감소했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소비자들의 ‘주택가격전망’입니다. 한국은행 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은 3월 기준 95로, 전월보다 3p 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 이후로 올해 들어 처음으로 나타난 반등세입니다.
소비자들의 주택가격전망은 지난해 9월 기준 110에서 꾸준히 하락하다가, 1월과 2월에 보합세를 보였고 3월에 들어서 다시 상승한 겁니다.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에 들어서서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이전보다는 강해진 셈입니다.
한국부동산원의 2024년 2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전월대비 0.14% 감소한 가운데 수도권에선 그 하락폭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매수·매도자간 적극적인 가격 조정 없는 관망세 속에서 급매물 중심의 거래가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가격 하락 진행 중이나, 서울(-0.09%)은 강남지역 위주로 하락폭 축소, 경기(-0.21%)는 안양·시흥·과천·오산시 위주로 하락, 인천(-0.10%)은 교통망 개선 계획에 따른 기대감 영향으로 하락폭 축소되며 수도권 전체 하락폭이 축소”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서울 강남 11개구
중 송파구(0.00%)에서는 주요단지별 매수문의가 지속되는 등 보합세를 보이면서 강남지역의 주택가격
하락폭을 둔화시켰습니다. 한강 위쪽으로는 용산구(0.00%)가
송파구와 마찬가지로 보합세를 유지했는데요. 앞서서 소비자들의 3월
주택가격전망이 반등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택가격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상승세에 오를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렵습니다.
한편, 소비자들의 3월 물가수준전망은 전월대비 2p 상승한 146으로 나타났습니다.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 역시 0.2%p 늘었는데요.
소비자들은 앞으로 1년간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 농축수산물(63.4%)을 가장 먼저 꼽았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공공요금(54.2%), 석유류제품(27%), 개인서비스(19.2%), 공업제품(18.9%), 집세(0.6%) 등의 순이었는데요. 특히, 농축수산물이 향후 물가에 긴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전월에 비해서 11.9% 올랐습니다. 이는 최근 사과, 대파 등을 중심으로 한 농축수산물의 물가 오름세가 매섭기 때문입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 상승(3.1%)을 견인한 건
농축수산물입니다. 전년동월대비, 농산물 가격이 5.7%, 채소 6.8%, 과일 8.6%
증가했는데요.
정부는 비축 물량을 풀고 할당관세 물량의 공급을 늘리면서 농축수산물의 물가를 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정부의 긴급 가격안정대책에 힘입어 (지난 3월 25일 기준) 대파의 가격이 전월대비 37.2%, 사과 16.7%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3월 하순 주요 농산물의 소비자가격을 살펴보면, 대파가 1kg에 2,746원, 사과(후지)가 10개에 24,403원, 배(신고)가 10개에 38,490원에 거래되고 있는데요.
전월에 비해서는 가격이 낮아졌다고
해도, 전년동월과 비교하면 소비자들에게 여전히 부담스러운 가격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 曰 “정부는 국민 장바구니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3월 중순부터 1,500억 원의 긴급 가격안정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앞으로도 농축산물 가격의 적정 수준 유지를 통한 지속 가능한 생산과 소비가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