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소비자심리지수 1.2p 하락... '주택가격전망'은 반등
▷ 소비자심리지수 올해 들어 처음 감소
▷ '물가수준전망'과 '주택가격전망'은 상승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3월 소비자심리지수(Composite Consumer Sentiment Index, CCSI)가 100.7로 전월대비 1.2p 떨어졌습니다.
지난해 12월부터 상승세를 보이던 소비자심리지수가 올해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인 건데요.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현재경기판단 등 대부분의 구성지표가 감소했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소비자들의 ‘주택가격전망’입니다. 한국은행 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은 3월 기준 95로, 전월보다 3p 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 이후로 올해 들어 처음으로 나타난 반등세입니다.
소비자들의 주택가격전망은 지난해 9월 기준 110에서 꾸준히 하락하다가, 1월과 2월에 보합세를 보였고 3월에 들어서 다시 상승한 겁니다.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에 들어서서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이전보다는 강해진 셈입니다.
한국부동산원의 2024년 2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전월대비 0.14% 감소한 가운데 수도권에선 그 하락폭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매수·매도자간 적극적인 가격 조정 없는 관망세 속에서 급매물 중심의 거래가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가격 하락 진행 중이나, 서울(-0.09%)은 강남지역 위주로 하락폭 축소, 경기(-0.21%)는 안양·시흥·과천·오산시 위주로 하락, 인천(-0.10%)은 교통망 개선 계획에 따른 기대감 영향으로 하락폭 축소되며 수도권 전체 하락폭이 축소”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서울 강남 11개구
중 송파구(0.00%)에서는 주요단지별 매수문의가 지속되는 등 보합세를 보이면서 강남지역의 주택가격
하락폭을 둔화시켰습니다. 한강 위쪽으로는 용산구(0.00%)가
송파구와 마찬가지로 보합세를 유지했는데요. 앞서서 소비자들의 3월
주택가격전망이 반등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주택가격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상승세에 오를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렵습니다.
한편, 소비자들의 3월 물가수준전망은 전월대비 2p 상승한 146으로 나타났습니다.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율 역시 0.2%p 늘었는데요.
소비자들은 앞으로 1년간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 농축수산물(63.4%)을 가장 먼저 꼽았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공공요금(54.2%), 석유류제품(27%), 개인서비스(19.2%), 공업제품(18.9%), 집세(0.6%) 등의 순이었는데요. 특히, 농축수산물이 향후 물가에 긴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전월에 비해서 11.9% 올랐습니다. 이는 최근 사과, 대파 등을 중심으로 한 농축수산물의 물가 오름세가 매섭기 때문입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 상승(3.1%)을 견인한 건
농축수산물입니다. 전년동월대비, 농산물 가격이 5.7%, 채소 6.8%, 과일 8.6%
증가했는데요.
정부는 비축 물량을 풀고 할당관세 물량의 공급을 늘리면서 농축수산물의 물가를 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정부의 긴급 가격안정대책에 힘입어 (지난 3월 25일 기준) 대파의 가격이 전월대비 37.2%, 사과 16.7%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3월 하순 주요 농산물의 소비자가격을 살펴보면, 대파가 1kg에 2,746원, 사과(후지)가 10개에 24,403원, 배(신고)가 10개에 38,490원에 거래되고 있는데요.
전월에 비해서는 가격이 낮아졌다고
해도, 전년동월과 비교하면 소비자들에게 여전히 부담스러운 가격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 曰 “정부는 국민 장바구니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3월 중순부터 1,500억 원의 긴급 가격안정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앞으로도 농축산물 가격의 적정 수준 유지를 통한 지속 가능한 생산과 소비가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