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서울시, 대중교통과 화물차 중심으로 올해 전기차 1만1589대 보급

▶서울시, 올해 전기차 1만1589대 보급...시내ㆍ마을버스 및 화물차 중심

입력 : 2024.02.27 15:00 수정 : 2024.02.27 15:15
서울시, 대중교통과 화물차 중심으로 올해 전기차 1만1589대 보급 (출처=국토교통부 홈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서울시가 올해 시내ㆍ마을버스 및 화물차를 중심으로 총 1만1589대의 전기차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습니다.

 

시는 주행거리가 높아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감축 효과가 큰 대중교통(버스ㆍ택시)과 화물차에 총 5307대를 집중 보급하고 전기차로의 전환에 대한 시민 체감을 높이고 탄소ㆍ소음저감에 환경개선을 기대한다는 입장입니다.

 

올해 보급하는 전기차 1만1578대는 ▲민간 부문 1만1362대 ▲공공부문 216대입니다.

 

민간 보급 차종별로는 ▲승용차 5000대 ▲화물차 2500대 ▲이륜차 1000대 ▲택시 2380대 ▲시내ㆍ마을버스 427대 ▲어린이통학차량 45대 ▲순환ㆍ통근버스 10대입니다.

 

대중교통 분야 보급물량 2807대(택시2380대, 시내ㆍ마을버스 427대)는 버스 교체 시기 및 택시 공급 정책 여건에 맞춰 별도 공고할 계획입니다.

 

전기 승용차 보조금은 정부의 보조금 인하정책에 따라 서울시도 차등 지원할 계획으로, 제조사 등의 차량 가격 인하를 통해 시장 자율 경쟁 체제를 유도합니다. 

 

구체적으로 보조금 전액지원 기준을 차량가격 5700만원에서 5500만원 미만으로 낮추고 최대 840만원(국비 690, 시비 150)을 지원합니다. 5500만원 이상 8500만원 미만 차량은 최대 보조금의 50%, 8500만원 이상 차량은 보조금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차상위 이하 계층 구매 시 국비 지원액의 20% 추가 지원하고,차상위 계층 중 청년 생애 최초 구매자에 대해서는 10%를 더해 총 30%를 추가 지원합니다.

 

또한 전기택시에 대해서는 해당 차량 보조금에 국비 250만원, 시비 30만원 추가 지원을 통해 최대 1120만원을 지원합니다.

 

시는 지난해 주행거리가 길고 시민 이용이 많은 전기버스(시내ㆍ마을) 1301대를 보급ㆍ운영해왔으며, 올해는 버스 대폐차 계획에 맞춰 작년 대비 2배 이상 많은 812대(사고이월 포함)를 보급할 계획으로 보조금을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합니다.

 

전기화물차는 차종에 따라 600만원(초소형)에서 최대 1500만원(소형)까지 지원하고, 냉동탑차 등 특수화물차의 경우 현재 최대 1776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 통학차량도 올해 시행된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라 어린이 통학용 버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국비 지원액의 20%가 추가된 최대 8000만원을 지원합니다. 

 

시는 '2024년 전기자동차 민간 보급사업'을 공고하고, 차종별ㆍ부문별 보급대수와 보조금 지원내용을 안내와 함께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오는 28일부터 접수를 실시합니다. 전기 이륜차 신청일은 별도 공고합니다. 

 

보조금 지급대상은 차량 출고ㆍ등록순으로 선정합니다. 보조금은 서울시가 자동차 제작ㆍ수입사로 직접 지급해 구매자는 자동차 구매대금 중 보조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만 제작ㆍ수입사로 납부하면 됩니다.

 

한편 경기연구원은 전기버스 보급확대와 함께 충전인프라의 급격한 수요 발생에 따른 기술력 한계, 이용자 요구에 대한 대응 한계 등이 문제가 된다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경기연구원은 2023년 7월 3주간, 전기버스 이용자인 경기도 버스운송업체 41개 업체를 대상으로 전기버스 충전기 및 충전관리시스템 현황, 구매 기준, 만족도, 중요도 및 표준화 방안에 관한 인식조사 결과를 담은 '친환경 전기버스 스마트하게 충전하고 관리하자'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에서 운행 중인 전기버스는 총 2039대이며, 전기버스 충전기 보급 대수는 총 1005대로 11개 업체가 공급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 전기버스 충전기 및 충전관리시스템의 만족도는 각각 75.9%, 65.2%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전기버스 충전인프라 구매 시 고려하는 것으로 충전기의 경우, 유지관리체계(28.6%), 공급사의 인지도 및 신뢰성(18.3%), 가격 및 부대비용(18.3%) 순이었으며, 충전관리시스템의 경우 운영 및 통신 호환성(22.8%), 유지관리 체계(19.5%), 스마트충전기능 및 비용 절감(16.3%)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충전기의 최우선 개선과제는 스마트충전 효율과 기술, 기능상 만족도는 기본기능, 중요도는 사후관리가 개선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의 영향력은 충전관리시스템과 호환성, 스마트충전 효율, 충전 정보의 수집 항목 및 내용이 높게 분석됐습니다.

 

충전관리시스템의 경우, 최우선 개선과제로 메뉴 구성의 편리함, 기능상 만족도와 중요도 모두 사후관리(A/S) 기간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전관리시스템의 만족도에 영향력은 제품에 대한 평판, 공급사의 인지도, 설치 및 운영에 소요 비용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게 프로토콜(통신규약) 등 표준화 및 기술 수준은 아직 걸음마 단계로 이(異) 기종간 호환성, 스마트충전 효율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습니다.

 

이에 연구원은 경기도 전기버스 충전인프라 표준화 방안으로 ▲충전기와 충전관리시스템을 연결해 주는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차량 및 차고지, 충전인프라 제조사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충전관리시스템으로 전기버스의 충전 및 관리가 가능한 통합관제 범위 확대 ▲전기버스의 순차 충전과 계절별, 시간대별, 차량정보 인식 등 스마트충전 전략 마련 ▲충전인프라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각화 등 제공과 관리 및 운영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관리자 권한 확대, 편리상 향상, 이력자료 제공 등을 제시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2

특수교육의 메카라는 대구에서...ㅠㅠ 대구시 통합교육이 어쩌다 이렇게까지 되었을까요 심히 안타깝네요 ㅠ

3

동성혼은 헌법위배!가족제도 붕괴!폴리아모리까지 가족형태로 인정하게되는 판도라상자!위법적 대법관후보들 절대 반대한다!!!

4

거주시설은 사회복지사 전공한 생활관 선생님들로부터 24시간 돌봄을 받으며, 간호사로부터 건강을 체킹 받고, 영양사의 균형 있는 식단과 낮 시간에는 장애인들에게 언어, 인지, 미술, 음악, 여행 등의 프로그램이 거주시설 안에서 인권을 보호받으며 운영되는 원시스템 천국입니다. 어느누가 시설을 감옥이라 하는가? 시설은 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살아갈 제 2의 따듯한 집입니다. 시설은 반드시 존치되어야합니다.

5

김영진 기자 선생님~~오늘도 어김없이 선생님께서는 유호준 도의원님이 발의하신 달시설지원조례 폐지 집회에 참석해주신 부모님들의 피눈물을 실어주셨군요.선생님께서 탈시설지원조례 정책 반대를 표명하는 기사를 실은 것은, 땡볕에 노출된 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님의 안타까운 삶의 조명에 저는 뜨거운 감동의 눈물이 흘렀습니다. 선생님께서는 땡볕아래 피눈물 흘리는 부모님 이전에 .정녕 사회적 약자인 중증 장애인들이 인권을 보호받으며 살기를 진심으로 원하시는 분이시구나. 한평생을 음지에서 살아가는 중증장애인들의 삶의 터전을 지켜주고 싶으신 분이시구나. 장애인 자녀를 둔 저는 자립지원조례 즉각 폐기하라! 외쳐도 진실은 그저 달아나기만 했는데 선생님의 가사를 보면서 진실이 제 손에 맞닿는 느낌. 벅차오르는 감동에 눈시울이 뜨거워집니다.! 김영진 기자 선생님! 중증장애인들의 삶의 터전 거주시설을 지켜주시려 진실의 펜을 드시는 선생님께 경의를 표합니다. 감사합니다.

6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은 통합을 위해 함께 협력해야 한다라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합니다. 대구의 경우에는 완전통합유치원도 두 곳이나 운영되고 있다고 알고 있는데.. 최근들어 대구시 유아교육에서 유아특수교육을 분리하려고 하는 흐름이 왜 나타났을까 ..깊게 생각해보게 되네요..

7

대구교육청은 대구시의 교육을 담당하는 핵심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첫단추인 유치원 과정에서 명백한 차별적 행위를 지시한것에 대해 깊이 반성해야할것입니다. 이와 같은 기사가 나오는 것 자체가 대구시교육청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