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英 기업들, 주4일제 성공적으로 정착시켜... "유익한 효과 장기간 이어져"
▷ 지난 2022년, 영국 61개 기업 대상으로 주4일제 실험 실시
▷ 연구진, "주4일제 효과는 장기적으로 이어져"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일주일에 4일만 근무하는, ‘주4일제’에 대해서 세계 각국은 많은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인 영국은, 지난 2022년 6월부터 12월까지 61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주4일제를 실행했습니다. 61개 기업 중 절반은 마케팅, 광고 등 서비스, 비영리 부문에 속해 있으며, 나머지는 건설, 제조, 소매, 의료 등 다양한 산업에서 영업 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들을 대상으로 임금의 삭감 없이, 원래 임금을 받으면서 근무시간은 평소보다 20% 감소시키는 이상적인 형태의 주4일제 실험이 진행되었는데요.
CNN에 따르면, 실험이 종료된 뒤 1년 6개월이 지난 현 시점까지 실험의 대상이 된 기업 중 최소 89%는 주4일제를 여전히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중 51%는 2023년 말에 주4일제를 회사 차원의 공식적인 근로시간으로 설정했는데요.
2022년 영국의 주4일제 실험을 주관한 싱크탱크 Autonomy와 캠브리지, 옥스퍼드 대학 연구원 등이 협력해서 낸 보고서에선, “근무 시간 단축의 효과는 직원과 회사에 상당히 유익했다”(“The effects of reduced working hours have been overwhelmingly beneficial for staff and their companies”)고 서술되어 있습니다.
실험이
종료된 이후 직원들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은 개선되었으며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는 향상되고, 업무로 인한 피로도가
줄어들었다는 겁니다. 연구진은 이러한 장점들이 1년이 지난
후에도 유지되었다고 밝혔는데요.
줄리엣 쇼르(Juliet Schor) 보스턴대 사회학 교수 曰 “핵심은 실험 6개월 동안 나타난 강력한 결과가 단기적인 영향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주4일제의) 효과는 실제로 장기간 지속된다”(“The key point is that
the strong findings at six months are not due to novelty or short-term impacts.
These effects are real and long-lasting”)
주4일제를 시행했던 기업 측에서도 긍정적인 의견이 나왔습니다. 직원 이직률은 눈에 띄게 감소했으며, 채용 과정에서도 큰 이점을
가져갈 수 있었다는 건데요. 연구진 조사에 따르면, 주4일제를 시행했던 기업의 82%는 직원 복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습니다.
연구진들은 “연구 결과, 주4일제는 단순하고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다”(“In this study, it has been clear the four-day week is not just a flash in the pan”)라며, “영국의 기업들은 성공적으로 주4일제를 정착시켜오고 있다”(“companies around the UK have successfully been ‘making it stick’”) 고 주장했습니다.
이렇듯, 주4일제의 효용성이 높다는 근거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전세계의 많은 근로자들이 근무 시간 단축을 요청하고 있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무작정 우리나라에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부 특수한 직종의 경우 주4일제가 가능할지 몰라도, 주4일제를 일반적인 근로시간으로 확립하기는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중앙대학교의 연구논문 ‘주4일제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에서 연구진은 “주4일제의 시행에 있어서 흔히 가장 큰 반대요인으로 여겨지는 기업 생산성 하락과 기업 이익의 손실에 있어서는 근무시간의 감소가 기업이나 사회의 직접적인 손실을 야기할 것이라고 예측하기 어렵다”면서서도, “주4일제로 야기되는 기업생산성, 비용증가의 경우 직종별로 더욱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논의 과정에서 기업의 추가채용으로 인한 비용증가는 직원들의 업무 스트레스 감소로 야기되는 고용 안정을 통한 기업 비용 감소, 노동자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생산 증대 측면에서 다각적인 논의와 실험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의 비용 문제를 포함해, 다양한 사항들을 심사숙고해야 한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중앙대학교 연구진 曰 “특히, 서비스직, 교대제 근무 등 노동시장 단축이 직접적인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기 힘든 직군 내에서 주4일제가 장기적으로 미칠 영향들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
과정에서 노, 사, 정간의 적극적인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댓글 0개
Best 댓글
우선 상법개정 정책 토론회를 주관해 주신 민주당과 계속해서 관련 기사를 써 주시는 이정원 기자님께 감사합니다 내 자산이 동결되고 하루 아침에 상폐되어 삶이 흔들려도 상폐사유서 조차 볼 수 없는 지금의 상법은 너무나 구 시대적 유물입니다 시대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허위공시~! 그것을 복붙하여 사실인양 옮겨 퍼 나르던 유튜버들~!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스러져갔습니다. 시대가 변했음에도 한국거래소는 기업의 거짓핫이슈에 대해 모니터링 및 관련자료를 확인하지 않았고 배임횡령에 가담한 이사들은 주주의 이익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이사충실의무! 주주에게까지 확대해야 한국 주식시장도 질서가 잡힐거라 확신합니다
2주주들을 자기들 배나 채우는 도구로만 보니 이화3사 처럼 배임 횡령으로 개인투자자 들만 죽어나고 배임횡령한 자는 잘살게하는게 이나라 상법입니다 얼마나 더 주주들이 피눈물을 흘리고 삶을 놓아야 제대로 된 상법개정을 하실건가요 이화그룹 주주연대는 상법개정을 원합니다
3상법개정 꼭 필요합니다 그래야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행복해집니다
4이화3사 경영진과 김영준은 소액주주들에 피같은 돈을 공시 사기쳐 배를 채운 악덕기업입니다. 다시는 이런일이 없게 개인투자자들을 보호하려면 상법개정이 절실합니다
5주식시장이 이렇게도 상황이 안좋은데, 상법개정이 통과되어 주식시장 선진화를 통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기 바랍니다. 또한 이화그룹주주연대 김현 대표님의 뜻처럼 거래정지와 상장폐지에 대한 고찰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6개인투자자를 위해 상법개정 반드시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이정원 기자님 수고 많으십니다.
7개인 투자자의 보호를위해서 상법 개정으로.. 이화그릅 주주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