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월 스트리트에 '극단적인 탐욕'이 돌아왔다

▷ 미국의 양호한 경제지표에... 美 증시 호황 누려
▷ CNN '공포와 탐욕지수'... 극단적인 탐욕으로 기울어

입력 : 2024.01.26 16:27 수정 : 2024.01.26 17:42
[외신] 월 스트리트에 '극단적인 탐욕'이 돌아왔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미국 경제가 예상을 뛰어넘은 호황을 누리면서, 월스트리트에 극도의 탐욕”(“Extreme Greed”)이 돌아왔습니다. CNNS&P 500 지수는 5년 연속으로 최고치를 향하고 있고, 다우존스지수는 이번주 처음으로 38,000선을 넘겼다. 경제는 성장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은 완화되고 있고 인공지능 혁명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The S&P 500 is tracking towards its fifth consecutive record high,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crossed the 38,000 mark this week for the first time ever, the economy is growing, inflation rates are easing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evolution is booming”),월스트리트에 극도의 탐욕이 되돌아왔다”(“That’s all heralded the return of extreme greed to Wall Street”)고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S&P 500, 다우존스지수, 나스닥종합주가지수 등 미국 증시의 지표 대부분이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지시각으로 지난 125일 기준, 나스닥종합주가지수는 전월대비 2.89% 증가한 바 있는데요.

 

극단적인 탐욕이라는 단어는 CNN의 증시지표 공포와 탐욕지수’(FEAR & GREED INDEX)에서 기인합니다. 이 지표를 통해서 현재 미국의 증시가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데요.


극단적인 공포(Extreme Fear)/공포(Fear)/중립(Neutral)/탐욕(Greed)/극단적인 탐욕(Extreme Greed) 다섯 단계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공포에 가까울수록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강력해지면서 주가가 내려가는 경향이 강력해지며, 탐욕은 그 반대입니다. 즉 단어 뜻 그대로, 투자자들이 공포로 인해 주식을 매도하는 것이고, ‘탐욕으로 인해 매수하는 셈입니다.


지난 125일 기준, CNN의 공포와 탐욕지수는 76으로, 극단적인 탐욕 초입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너도나도 주식을 구매하며, 시장의 호황을 이끌고 있다는 이야기인데요. 미국의 경제 지표가 양호하게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CNN에 따르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는 지난해 4분기에 3.3% 늘었습니다. 이는 전문가들의 예상을 상회하는 수치인데요. 소비가 같은 기간 동안 2.8% 늘면서 미국 경제를 견인했고, 인플레이션 지표는 1.7%로 연방준비제도의 목표(2%)보다 낮았습니다.


게다가, 미국 금융당국은 공공연하게 금리 인하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크리스토퍼 윌러(Christopher Waller)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반등하지 않고 현 상승세를 유지하는 한, 연준이 기준금리 목표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as long as inflation doesn’t rebound and stay elevated, I believe the [Fed] will be able to lower the target range for the federal funds rate this year”)고 전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투자자들은 물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희망적인 견해가 오가고 있습니다. CNN“NABE가 진행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올해 미국 경제는 침체하지 않을 것이라 답했다”(“Economists polled by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Business Economics now overwhelmingly say the US economy will avoid a recession this year”)고 밝혔는데요.


글로벌 회계법인 EY의 전문가 리디아 부소르(Lydia Boussour)불경기가 아니었다”(the recession that wasn’t”), “2023년 전반적으로 경제는 연평균 성장률 2.5%를 기록했으며, 경기 침체에 대한 여론의 기대를 가볍게 뛰어넘었다. 역풍과 위험으로 인해 경기침체에 빠질 확률이 약 35%에 달해도, 우리는 연착륙을 가장 유력한 결과로 보고 있다”(Overall, the economy sailed through 2023 with growth averaging 2.5% for the year, handily surpassing consensus expectations for a recession. Looking ahead, we continue to see a soft landing as the most likely outcome this year even if a collection of headwinds and risks means that recession odds are around 35%”)고 전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

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

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

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

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

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

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