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외신] 지평 넓어진 비트코인 투자... 美 SEC 비트코인 현물 ETF 11곳 승인

▷ "거짓 정보 현실화되었다"... 기업 11곳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돼
▷ 현 증권시장 ETF처럼 비트코인 ETF 거래 가능해
▷ 게리 겐슬러 SEC 의장 "ETF 승인하긴 했으나, 비트코인을 승인한 건 아냐"... 위험성과 변동성 우려

입력 : 2024.01.11 10:36 수정 : 2024.01.11 10:38
[외신] 지평 넓어진 비트코인 투자... 美 SEC 비트코인 현물 ETF 11곳 승인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가 비트코인의 현물 ETF(Exchange-traded fund) 11곳을 승인했습니다.

 

CNN에 따르면, SEC는 현지시각으로 지난 9, 비트코인 ETF를 다루고자 하는 회사 11곳 중 한 곳을 승인했으며, 하루가 지난 10일에는 10곳을 추가로 승인했습니다.

 

9일에 비트코인 ETF가 모두 승인될 것이라는 해커의 거짓 정보가 현실화된 셈인데요. 이에 따라, 기업 11(Bitwise, BlackRock, Fidelity, Franklin Templeton, Grayscale, Hashdex, Invesco, WisdomTree, Valkyrie, VanEck)의 비트코인 현물 ETF가 운용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ETF, 상장지수펀드란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키고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펀드를 뜻합니다.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한 가지의 종목이 아닌 여러가지 종목의 주가를 따라갑니다. 가령, 코스피(KOSPI)를 추종하는 ETF라면, 코스피가 오르면 오를수록 ETF도 오르는 건데요.

 

이러한 ETF가 비트코인 현물을 추종한다는 건, 비트코인 가격이 오를수록 이를 따라가는 ETF 역시 상승세를 탈 것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라는 의미입니다.

 

코스피나 일정 산업군을 추종하는 ETF와 유사하게, 현 제도권의 증권시장 내에서도 비트코인과 관련된 증권거래를 진행할 수 있게 된 겁니다.

 

다르게 말하면, 그간 증권시장 밖에서 맴돌던 비트코인이 증권시장 안으로 들어온 셈입니다.

 

이와 관련해 CNN규제 당국의 앞선 움직임은 가상자산을 직접 소유하지 않은 증권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투자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줄 것으로 예상한다”(“The regulator’s highly anticipated move is expected to make bitcoin investing more accessible to Main Street investors, without requiring them to own the digital asset directly”)고 전했습니다.

 

물론, 비트코인의 안정성에 대해선 의문의 여지가 남아있습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은 지난 15년간 다른 투자 종목들보다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높았습니다.

 

지난 9, 게리 겐슬러(Gary Gensler) SEC 위원장의 SNS 계정으로 규제 당국이 비트코인 ETF를 승인했다는 정보가 나오자 비트코인의 가격은 순식간에 6,200만 원 선에 근접했고, 그 정보가 거짓으로 밝혀지자 6,000만 원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SEC가 공식적으로 비트코인 ETF 11곳을 승인한 현 시점에는 대체적으로 상승세에 있습니다.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그와 연관된 이더리움 등 다른 가상자산들의 가격도 양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겐슬러 SEC 의장은 특정 현물 비트코인 ETP(Exchange-traded product)의 거래를 승인하긴 했으나, 비트코인 자체를 승인하거나 지지하는 건 아니다”(While we approved the listing and trading of certain spot bitcoin ETP shares today, we did not approve or endorse bitcoin”)라며,투자자들은 비트코인 및 가상자산과 가치가 연동되는 상품의 위험성에 주의해야 한다”(“Investors should remain cautious about the myriad risks associated with bitcoin and products whose value is tied to crypto”)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지난 번에도 가상자산 투자는 매우 위험하며, 변동성이 큰 경우가 많다. 다수의 주요 플랫폼 및 가상자산은 무너지거나 가치를 상실했다”(Investments in crypto assets also can be exceptionally risky & are often volatile. A number of major platforms & crypto assets have become insolvent and/or lost value”)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한편,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SEC의 결정을 환영하는 분위기가 짙습니다.

 

가상자산 기업 Crypto Council for InnovationCEO 실라 워런(Sheila Warren)현물 비트코인 ETF는 전통적인 금융과 급성정하고 있는 가상자산 세계를 연결하는 다리”(“A spot Bitcoin ETF is a bridge between traditional finance and the burgeoning world of crypto”)라며, 직접적인 소유권이라는 기술적 이슈 없이,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의 세계로 갈 수 있도록 허락하는 건, 포용성을 향한 중요한 단계”(“Allowing investors to partake in the bitcoin journey without the technical hurdles of direct ownership is a significant step towards inclusivity”)라고 밝혔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

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

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

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

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

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