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또 오르는 치킨값에...누리꾼 "이제 프렌차이즈 치킨 안먹어"

▷BHC치킨, 29일부터 500~3000원 가격 인상
▷다양한 의견 나와...대부분은 냉소적 반응

입력 : 2023.12.28 10:50 수정 : 2023.12.28 10:51
또 오르는 치킨값에...누리꾼 "이제 프렌차이즈 치킨 안먹어" 출처=BHC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치킨 프랜차이즈 BHC가 2년 만에 가격을 인상합니다. 이에따라 지난해부터 이어진 가격 인상으로 업계 '빅3(교촌·BBQ·BHC)'라고 불리는 프렌차이즈점의 치킨 가격이 모두 오르게 됐습니다. 

 

BHC는 오는 29일부터 전국 매장에서 치킨 메뉴를 비롯한 85개 제품의 권장 소비가 가격을 500~3000원 인상한다고 27일 밝혔습니다.이번 인상으로 bhc 치킨 가격은 평균 12.4% 오르게 됩니다. bhc 대표 메뉴인 뿌링클 가격은 1만8000원에서 2만1000원으로 3000원 오릅니다.

 

BHC 관계자는 "주문 중개 수수료와 배달 대행 수수료, 인건비와 임대료 상승, 지속되는 원부자재 가격의 인상 등으로 악화한 가맹점 수익 개선을 위해 부득이하게 가격 조정에 나선다"고 가격 인상 이유를 밝혔습니다.

 

올해 유명 치킨 브랜드들의 가격 인상은 이어졌습니다. 교촌치킨이 지난 4월 판매 품목의 가격을 500~3000원까지 올렸습니다. 간판 메뉴인 허니콤보는 2만원에서 2만 3000원이 됐습니다. 지난해 5월 인상한 BBQ도 아직 추가 인상 계획이 없다지만 업계 1위가 올린만큼 추가적으로 가격인상이 될수도 있다는 게 업계측 시각입니다.

 

배달치킨 3만원 시대가 도래한 것을 두고 누리꾼들의 반응은 다양합니다. 우선 가격인상에 찬성하는 쪽에서는 여러 비용 증가했으므로 치킨가격 인상은 당연하다고 주장합니다. 누리꾼 A씨는 "지금의 가격대로는 마진이 남는게 없다. 임대료, 인건비, 공과급, 카드결제 수수료 등을 고려하면 치킨 가격을 올리는게 맞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누리꾼들은 치킨가격인상에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누리꾼 B씨는 "3만원 치킨 시켜먹을 바에는 차라리 국밥 두그릇을 먹는게 훨씬 더 이득일 거 같다. 앞으로 브랜드 치킨을 먹는것에 고민이 많이 될 거 같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외에도 "배달료 상승 부담을 왜 소비자에가 전가하냐", "프랜차이즈 치킨 보이콧 운동을 해야한다"등의 반응도 나왔습니다. 한편 편의점과 대형마트 등이 고물가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을 겨냥한 1만원 대 치킨을 판매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프랜차이즈 치킨 이탈이 가속화 될것이라는 시각이 나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2

중증 발달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은 탁상행정입니다. 실상을 모르니까 탈시설이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겁니다. 최소한의 신변 처리도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에게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삶의 자리입니다.

3

일반 성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현저히 낮고, 사고발생율이 50% 더 높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재난에는 특히 더 취약하여 자립지원주택에서는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에 노출된 이들을 의료 인력이 충분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에서 편안히 거주하게 해야 한다”

4

자립불가능한 장애인을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요??? 그들이 부르짖는 인권은 이권의 다른 이름입니다 누가 2살의 말도 못하고 죽음도분별하지못해 도로로 뛰어드는 중증장애인을 자립하라고 합니까??? 전장연과 부모연대는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5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으로 이루어진 단체. 지체장애인들은 인지가 비장애인과 같습니다. 자립의 대상은 지체장애인이며, 전국의 너느 거주시설에도 지체장애인은 없습니다. 즉 지체장애인단체인 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6

유호준 의원은 중증장애인과 단 하루라도 살아보고 자립지원조례안을 만들어 보시오. 중증장애인들과 뭘 어떻게 어느만큼 소통하고 이런 정책을 만들었는지 한심하다 못해 우리의 세금으로 이런 의원들의 세비까지 줘야하는 현실이 매우 부끄럽고 참담합니다.

7

모든 장애인의 장애 정도가 다 동등하지 않습니다. “의사표시와 활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경증장애인, 그것이 거의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책은 달라냐합니다.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들은 자립하고, 사회적 인지기능이 3세정도인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에서 보호받아야 합니다. 거주시설은 반드시 존치되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