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역대 최대..."세대별 맞춤 지원 필요"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
▷소득은 늘었지만 자산 줄고 부채 늘어
▷"세대별 안전한 기능망 만들 필요 있어"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해마다 나홀로 가구가 늘면서 지난해 10집 중 3집은 혼자 사는 1인 가구로 집계됐습니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750만2000가구로 1년 전보다 33만6000가구 증가했습니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1년 33.4%에서 2022년 34.5%로 올라섰습니다. 2005년까지만 해도 20% 수준에 그쳤던 1인 가구 비중은 2019년에 처음으로 30%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해 또다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입니다.
1인 가구가 늘어난 데는 고령층 인구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20대 이하 19.2%, 70대 이상 18.6%, 30대 17.3%, 60대 16.7%, 50대 15.2%, 40대 13.0% 순이었습니다.
1인가구의 지난해 연소득은 3010만원으로 전년 2710만원보다 11.1%(300만원) 증가했습니다. 취업에 성공한 1인가구가 전년 대비 20만 4000가구 증가하면서 근로소득이 17.2%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1인가구의 소득은 전체 가구의 평균 소득인 6762만원의 44.5%에 불과했습니다.
1인가구의 소득 분포를 보면 1000만~3000만원이 44.5%로 가장 많았고 3000만~5000만원이 22.7%, 1000만원 미만이 16.8%로 뒤를 이었습니다. 5000만~7000만원은 9.8%, 7000만~1억원은 4.3%, 1억원 이상은 2%였습니다.
소득은 늘었지만 자산이 줄고 부채가 증가하면서 삶은 팍팍해졌습니다. 올해 3월 기준 1인가구의 자산은 2억 949만원으로 지난해보다 0.8% 줄었습니다.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2년 이후 11년 만의 첫 감소입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1인 가구 증가에 대비한 세대별 맞춤형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최현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통계센터장은 "현행 사회보장체계는 사회구조적 변화에 따른 개인화된 위험을 인지하기 어려워 적절한 자원 배분을 통해 세대별 합리적인 사회안전망 기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홍선미 한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1인 가구는 연령과 계층별로 특성이 달라 청년층은 주거, 중장년층은 실업, 고령층은 빈곤 및 돌봄 대책을 마련하는 등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