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만에 입주절벽...전셋값 폭등하나?
▷부동산R114 "2025년 입주 예정 24만2421가구"
▷지난해 부동산 침체 여파로 분양이 대폭 줄어든 탓
▷"금융위기 당시도 전셋값 폭등...전세대란 올 수 있어"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내후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과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나타나났습니다.
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5년 전국 아파트 입주 예상 물량은 24만1785가구로, 올해(36만7635가구)와 비교해 12만5850가구 감소할 것으로 추산됩니다.이는 2013년 19만9633가구를 기록한 이래 가장 적은 수준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6만5367가구로 예상돼 올해(11만2755가구)보다 4만7388가구가 줄어듭니다. 경기도에서의 입주 물량 감소분은 전국 총 감소분의 37%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로 분양이 대폭 줄어든 것이 이 같은 입주 물량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2020년과 2021년에는 7만가구 이상이 전국에 일반분양됐으나 지난해는 6만804가구로 전년 대비 1만가구 이상 줄었고, 올해는 5만가구를 밑도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처럼 각종 관련 수치가 신축 아파트 공급절벽을 예고하고 있는 상황에 전세가격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한 주 전보다 0.17% 상승하면서 27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수도권 전세가격 또한 전주 대비 0.16% 오르며 22주째 상승 곡선을 그렸습니다.
최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매매 수요의 전세 전화, 입주 물량 감소 등 복합적 요인을 합해 내년 전국 전셋값이 2.0% 상승할 것이란 전망치를 내놨습니다.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과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나타나면서 전문가들은 신축 아파트 공급 축소가 전세가격 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센터장은 "금융위기 당시 매매가 줄면서 전월세 가격이 폭등했다"며 "내년 매매 거래가 절벽이 되면 전세 대란이 올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