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이효성 대표 "전세계 모든 지식재산이 거래되는 플랫폼 만들겠다"
▷지식재산권이 가전 폐쇄성에 문제의식 가져
▷신생업체임에도 빠른 성장...설립 1년만에 21억 매출
▷북채널 곧 오픈...소비자·작가·출판사 '윈윈'가능해
![[인터뷰] 이효성 대표 "전세계 모든 지식재산이 거래되는 플랫폼 만들겠다"](/upload/ed5b4dd89ac849a3861b803767b1b92f.jp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식재산이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곳에 활용될 때 더 나은 세상이 될 것이란 비전이 있다. 아이피샵이 하나의 오픈 마켓으로 전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지식재산이 거래될 수 있도록 만들겠다"
지난 28일 서울 강남구 역상동에 위치한 지식재산(IP) 거래 플랫폼 운영사인 아이피샵 본사에서 만난 이효성 대표는 향후 비전에 대해 묻자 이렇게 답했습니다.
아이피샵은 2020년 12월에 설립된 회사로 음원·캐릭터·아트·티켓을 시작으로 모든 분야의 지식재산권(IP)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회사입니다. 아이피샵은 지식재산이 제대로 활용돼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대표는 "지식재산권이 가진 폐쇄성 때문에 오랜시간 특허를 만들었는데 이미 있다거나 제대로 활용을 못해 미활용 특허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아이피샵은 지식재산이 제대로 활용될 때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으로 지식재산 거래 플랫폼이라는 회사를 만들고 운영하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아이피샵은 신생업체임에도 빠르게 성장 하고 있습니다. 아이피샵은 설립 1년만에 NH벅스로부터 약 50억원의 투자 유치를 받았고 서비스 오픈 첫날에 1억4000만원을 시작으로 사업 첫해 21억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이 대표는 "곧 신규 서비스 채널로 북(BOOK) 채널과 특허 채널 오픈을 준비 중"이라면서 "여기에 조각투자 시장이 내년 활성화되면 내년에는 회사가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식재산권(IP)이란 표현물이나 발명품 등 '지식재산'에 대한 권리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지적 능력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물을 가지고 어떻게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는 권리인 셈입니다. 예컨대 특정 게임의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면 이를 보유한 사람의 허가 없이 작품은 물론, 작품의 제목이나 캐릭터, 음악, 소스코드 등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IP는 크게 산업재산권과 저작권 그리고 신지식재산권으로 나뉩니다.
다음은 이 대표와의 일문일답
Q.아이피샵의 강점은?
타 플랫폼이 지식재산의 종류를 비교적 세분화해 거래하고 있다면, 아이피샵은 이런 모든 분야의 조각거래가 한 곳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아이피샵은 첫해 음원 채널을 시작으로 NFT, 캐릭터, 미술, 티켓 등의 채널이 오픈됐고, 올해 하반기에는 북채널, 웹툰, 채널, 게임 채널 순으로 오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Q.생성형 AI 등장이 지식재산 거래 플랫폼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을거 같은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혀 문제가 될 사안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생성형 AI로 만들어진 결과물은 지식재산으로 인정되기 어렵습니다. 지식재산은 인간의 어떤 창조적인 활동과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는 산출물입니다. 예술작품이 가치를 갖는 이유는 작가의 감정이나 사상을 표현한 해석이 들어가 있기 때문입니다. 생성형 AI로 만들어진 결과물은 지식재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논의 자체도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Q.그럼 생성형 AI와 관련해 검토해야할 사안은 없나?
생성형AI가 학습한 데이터의 저작권자에게 라이센스 비용을 내도록 해야합니다. 생성형AI를 통해 만들어진 음원은 어떤 작곡가가 만든 노래를 통해 만들어졌지만 그 저작물에 대해 사용한 값을 지불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사안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4분기 '북(BOOK) 채널' 신규 오픈을 준비하고 있다고 들었다.
곧 시작할 북채널은 작가와 출판사 그리고 소비자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비지니스 모델입니다. '출판저작인접권'을 만들어 책이 판매될 때마다 작가랑 출판사 그리고 소비자가 비용의 일부를 가져가게끔 하는 구조입니다. 작가와 출판사 입장에서는 최초 투자 된 자금을 회수할 수 있고 구매자 입장에서는 구매와 동시에 책의 인쇄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이미 국내 100여개의 출판사가 저희와 제휴를 통해 신규 출판을 약속했고 올 12월 쯤에는 준비된 책들이 판매가 개시될 계획입니다.
Q.제도적 및 정책적 한계로 인한 어려움은 없나.
정부규제로 조각투자가 활성화되지 않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투자자보호장치 마련 등 조각투자 관련 사업이 제도권에 진입하기까지는 꽤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블록체인을 활용해 발행한 토큰증권(ST) 역시도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고 관련 법안이 시행될 때까지 시간이 남았습니다. 아이피샵은 규제대상이 되는 영역에 대해 사업 추진의 동력을 잃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것입니다. 이와함께 규제대상이 되지 않는 영역은 관련 채널을 오픈해 사업들을 영위해 나갈 계획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