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바닥론 다시 고개 드나?"...서울아파트 가격 상승 기미
▷압구정, 성수, 고양 줄줄이 신고가
▷강남3구만 올해 누적 기준 상승 전환
▷마용성도 큰폭 상승...곧 오름세 전환 전망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집값이 더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바닥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가운데, 서울아파트 가격이 상승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 중 신고가는 전체 거래의 10%인 349건이었습니다.
서울 아파트 신고가 비중이 10% 이상으로 올라선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입니다. 반면 신저가 거래 비중은 0.89%로 2021년 9월(0.97%) 이후 약 2년 만에 1%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전국적으로도 신고가는 늘고 신저가는 줄고 있습니다. 지난달 전국 신고가 거래는 1505건으로 4개월 연속 증가했고, 신저가는 434건으로 3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서울은 신고가 거래가 집중적으로 발생했습니다. 신고가 상승액이 큰 상위 50개 아파트 중 33개(66%)는 서울 아파트였습니다.
지난달 신고가 상승액 1위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3 단지로, 전용면적 161.90㎡가 지난달 53억원에 매매됐습니다. 이전 최고가인 2019년 11월 36억원보다 17억원 높습니다.
두번째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포레로, 전용면적 241.93㎡가 100억원에 손바뀜하면서 이전 최고가인 2021년 9월 84억5000만원보다 15억5000만원 비싼 금액에 거래됐습니다.
서울 이외 지역에서는 경기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DMC한강에일린의뜰 전용면적 106.982㎡가 11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지난해 11월 신고가 6억원보다 거의 2배 오른 값에 팔렸습니다.
이런 가운데 강남 3구 아파트가 집값 침체기 때의 하락률을 모두 회복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9월 둘째 주 기준 올 들어 집값 변동률이 누적 기준으로 상승 전환한 지역은 송파구(2.44%), 서초구(0.46%), 강남구(0.16%) 뿐이었습니다.
지난해 말과 올 초에 걸쳐 잠실 대단지 아파트 등에서 집값이 큰 폭으로 떨어졌지만, 금새 회복세를 보이면서 매매가는 다시 고점 근처까지 돌아왔습니다.
송파구 잠실동 엘스의 경우 전용면적 59㎡도 20억원대에서 거래가 체결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해당 면적은 21억9000만원에 거래됐는데, 지난해 12월 14억9000만원까지 떨어졌다가 지난 7일 20억원에 계약됐습니다. 30% 넘게 내렸다가 고점에 가까워지는 모습입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은 지난해 12월 저층이 17억원대 후반에서 거래되다가 지난 11일 23억원대 중반에 손바뀜 됐습니다. 일년도 안 되는 사이에 가격차이가 30%가 넘습니다.
강남3구에 이어 성동(-1.76%), 강동(-1.86%), 용산(-2.11%), 마포(-2.21%) 등도 매주 큰 폭의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어 오름세 전환이 머지 않았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