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바닥론 다시 고개 드나?"...서울아파트 가격 상승 기미
▷압구정, 성수, 고양 줄줄이 신고가
▷강남3구만 올해 누적 기준 상승 전환
▷마용성도 큰폭 상승...곧 오름세 전환 전망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집값이 더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바닥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가운데, 서울아파트 가격이 상승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 중 신고가는 전체 거래의 10%인 349건이었습니다.
서울 아파트 신고가 비중이 10% 이상으로 올라선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입니다. 반면 신저가 거래 비중은 0.89%로 2021년 9월(0.97%) 이후 약 2년 만에 1%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전국적으로도 신고가는 늘고 신저가는 줄고 있습니다. 지난달 전국 신고가 거래는 1505건으로 4개월 연속 증가했고, 신저가는 434건으로 3개월 연속 감소했습니다.
서울은 신고가 거래가 집중적으로 발생했습니다. 신고가 상승액이 큰 상위 50개 아파트 중 33개(66%)는 서울 아파트였습니다.
지난달 신고가 상승액 1위는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3 단지로, 전용면적 161.90㎡가 지난달 53억원에 매매됐습니다. 이전 최고가인 2019년 11월 36억원보다 17억원 높습니다.
두번째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포레로, 전용면적 241.93㎡가 100억원에 손바뀜하면서 이전 최고가인 2021년 9월 84억5000만원보다 15억5000만원 비싼 금액에 거래됐습니다.
서울 이외 지역에서는 경기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 DMC한강에일린의뜰 전용면적 106.982㎡가 11억5000만원에 거래되면서 지난해 11월 신고가 6억원보다 거의 2배 오른 값에 팔렸습니다.
이런 가운데 강남 3구 아파트가 집값 침체기 때의 하락률을 모두 회복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9월 둘째 주 기준 올 들어 집값 변동률이 누적 기준으로 상승 전환한 지역은 송파구(2.44%), 서초구(0.46%), 강남구(0.16%) 뿐이었습니다.
지난해 말과 올 초에 걸쳐 잠실 대단지 아파트 등에서 집값이 큰 폭으로 떨어졌지만, 금새 회복세를 보이면서 매매가는 다시 고점 근처까지 돌아왔습니다.
송파구 잠실동 엘스의 경우 전용면적 59㎡도 20억원대에서 거래가 체결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해당 면적은 21억9000만원에 거래됐는데, 지난해 12월 14억9000만원까지 떨어졌다가 지난 7일 20억원에 계약됐습니다. 30% 넘게 내렸다가 고점에 가까워지는 모습입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은 지난해 12월 저층이 17억원대 후반에서 거래되다가 지난 11일 23억원대 중반에 손바뀜 됐습니다. 일년도 안 되는 사이에 가격차이가 30%가 넘습니다.
강남3구에 이어 성동(-1.76%), 강동(-1.86%), 용산(-2.11%), 마포(-2.21%) 등도 매주 큰 폭의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어 오름세 전환이 머지 않았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