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똘한 한 채' 선호...평형수 크고 비싼 아파트 거래 비중 늘어
▷중·대형 아파트 거래 늘어...대출 규제 완화로 수요자 자금사정 좋아진 탓
▷서울에서 매매된 아파트 10채 중 4채 실거래가 10억원 넘어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똘똘한 한채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평형수가 큰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서울에서 규모 61~86㎡(일반적으로 84㎡) 아파트 거래는 654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3165건) 2배 넘게 늘었습니다.
60㎡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건수가 같은 기간 59.5%(5378건→8679건) 증가한 것과 비교해 오름폭이 훨씬 가파릅니다. 86㎡ 이상 아파트 거래도 1388건에서 2384건으로 71.8% 뛰었습니다.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 중 61~86㎡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도 꾸준히 올라가는 흐름입니다. 이 수치는 지난해 하반기 20%대 중후반이었지만 지난 1월 30%대(32.4%)에 진입한 뒤 2월 36.9%, 3월 34.2%를 거쳐 4월에는 40%를 넘겼습니다. 5, 6월에는 각각 39.3%, 37.8%로, 40%를 약간 밑돌았습니다. 반면 60㎡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비율은 60%안팎에서 40%대 중반으로 내려앉았습니다.
평형수가 크니 비싼 아파트 거래 비중도 자연스레 늘었습니다.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살펴본 결과, 올해 1~7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 2만1629건 가운데 10억원 이상 거래량은 8562건으로 집계됐습니다.
10억원 이상 거래가 전체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6%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6년(1~7월 기준) 이래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10억원 이상의 거래 비중은 지난 2017년 처음으로 10%를 넘은 11.1%를 기록했고, 2018년 12.5%, 2019년 25.6%로 치솟아 오른 뒤 2020년 21.6%로 하락했습니다. 지난 2021년과 2022년에는 36.4%로 상승했습니다.
자치구별 1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초구로 확인됐습니다. 올해 1~7월 서초구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 955건 중 10억원 이상 거래량은 853건으로 전체의 89.3%에 달했습니다.
이어 용산구는 아파트 매매 거래 290건 가운데 10억원 이상 거래가 250건으로 86.2% 비중을 보였습니다. 강남구 85.5%, 송파구 77.4%, 성동구 67.4%, 마포구 63.9%, 광진구 60.2%, 종로구 57.5%, 강동구 53.9%, 양천구 49.9%, 동작구 49.8%, 영등포구 41.5%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10억원 이상 거래 비중이 가장 낮은 자치구는 강북구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1~7월 강북구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 447건 가운데 5건이 10억원 이상 거래돼 1.1%의 비중을 보였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