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똘한 한 채' 선호...평형수 크고 비싼 아파트 거래 비중 늘어
▷중·대형 아파트 거래 늘어...대출 규제 완화로 수요자 자금사정 좋아진 탓
▷서울에서 매매된 아파트 10채 중 4채 실거래가 10억원 넘어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똘똘한 한채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평형수가 큰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서울에서 규모 61~86㎡(일반적으로 84㎡) 아파트 거래는 654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3165건) 2배 넘게 늘었습니다.
60㎡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건수가 같은 기간 59.5%(5378건→8679건) 증가한 것과 비교해 오름폭이 훨씬 가파릅니다. 86㎡ 이상 아파트 거래도 1388건에서 2384건으로 71.8% 뛰었습니다.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 중 61~86㎡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도 꾸준히 올라가는 흐름입니다. 이 수치는 지난해 하반기 20%대 중후반이었지만 지난 1월 30%대(32.4%)에 진입한 뒤 2월 36.9%, 3월 34.2%를 거쳐 4월에는 40%를 넘겼습니다. 5, 6월에는 각각 39.3%, 37.8%로, 40%를 약간 밑돌았습니다. 반면 60㎡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비율은 60%안팎에서 40%대 중반으로 내려앉았습니다.
평형수가 크니 비싼 아파트 거래 비중도 자연스레 늘었습니다.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살펴본 결과, 올해 1~7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 2만1629건 가운데 10억원 이상 거래량은 8562건으로 집계됐습니다.
10억원 이상 거래가 전체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6%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6년(1~7월 기준) 이래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10억원 이상의 거래 비중은 지난 2017년 처음으로 10%를 넘은 11.1%를 기록했고, 2018년 12.5%, 2019년 25.6%로 치솟아 오른 뒤 2020년 21.6%로 하락했습니다. 지난 2021년과 2022년에는 36.4%로 상승했습니다.
자치구별 1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초구로 확인됐습니다. 올해 1~7월 서초구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 955건 중 10억원 이상 거래량은 853건으로 전체의 89.3%에 달했습니다.
이어 용산구는 아파트 매매 거래 290건 가운데 10억원 이상 거래가 250건으로 86.2% 비중을 보였습니다. 강남구 85.5%, 송파구 77.4%, 성동구 67.4%, 마포구 63.9%, 광진구 60.2%, 종로구 57.5%, 강동구 53.9%, 양천구 49.9%, 동작구 49.8%, 영등포구 41.5%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10억원 이상 거래 비중이 가장 낮은 자치구는 강북구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1~7월 강북구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 447건 가운데 5건이 10억원 이상 거래돼 1.1%의 비중을 보였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