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똘한 한 채' 선호...평형수 크고 비싼 아파트 거래 비중 늘어
▷중·대형 아파트 거래 늘어...대출 규제 완화로 수요자 자금사정 좋아진 탓
▷서울에서 매매된 아파트 10채 중 4채 실거래가 10억원 넘어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똘똘한 한채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평형수가 큰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서울에서 규모 61~86㎡(일반적으로 84㎡) 아파트 거래는 654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3165건) 2배 넘게 늘었습니다.
60㎡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건수가 같은 기간 59.5%(5378건→8679건) 증가한 것과 비교해 오름폭이 훨씬 가파릅니다. 86㎡ 이상 아파트 거래도 1388건에서 2384건으로 71.8% 뛰었습니다.
서울 전체 아파트 거래 중 61~86㎡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도 꾸준히 올라가는 흐름입니다. 이 수치는 지난해 하반기 20%대 중후반이었지만 지난 1월 30%대(32.4%)에 진입한 뒤 2월 36.9%, 3월 34.2%를 거쳐 4월에는 40%를 넘겼습니다. 5, 6월에는 각각 39.3%, 37.8%로, 40%를 약간 밑돌았습니다. 반면 60㎡ 이하 소형 아파트 거래비율은 60%안팎에서 40%대 중반으로 내려앉았습니다.
평형수가 크니 비싼 아파트 거래 비중도 자연스레 늘었습니다.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살펴본 결과, 올해 1~7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 2만1629건 가운데 10억원 이상 거래량은 8562건으로 집계됐습니다.
10억원 이상 거래가 전체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6%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6년(1~7월 기준) 이래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10억원 이상의 거래 비중은 지난 2017년 처음으로 10%를 넘은 11.1%를 기록했고, 2018년 12.5%, 2019년 25.6%로 치솟아 오른 뒤 2020년 21.6%로 하락했습니다. 지난 2021년과 2022년에는 36.4%로 상승했습니다.
자치구별 1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초구로 확인됐습니다. 올해 1~7월 서초구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 955건 중 10억원 이상 거래량은 853건으로 전체의 89.3%에 달했습니다.
이어 용산구는 아파트 매매 거래 290건 가운데 10억원 이상 거래가 250건으로 86.2% 비중을 보였습니다. 강남구 85.5%, 송파구 77.4%, 성동구 67.4%, 마포구 63.9%, 광진구 60.2%, 종로구 57.5%, 강동구 53.9%, 양천구 49.9%, 동작구 49.8%, 영등포구 41.5%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10억원 이상 거래 비중이 가장 낮은 자치구는 강북구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1~7월 강북구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 447건 가운데 5건이 10억원 이상 거래돼 1.1%의 비중을 보였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