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오르기 전에"...아파트 분양 물량·청약 경쟁률 동반 상승
▷아파트 분양, 지난해 9월과 비교해 52% 늘어
▷아파트 1순위 청약경쟁률,연초 대비 130배 상승
▷분양가 치솟자 내집 마련하려는 수요자들 증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9월 중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이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약 50% 이상 늘어난 가운데, 수도권 청약 경쟁률 또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분양가가 더 높아지기 전에 내 집을 마련하려는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4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3만2345가구로 지난해 9월(2만1337가구)과 견줘 52% 늘어난 수준입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만7920가구, 비수도권은 1만4425가구입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9122가구, 경기 5869가구, 인천 2929가구가 공급됩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9122가구로 분양 예정 물량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경기 5869가구 △인천 2929가구 순이었습니다.서울에서 분양되는 단지로는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3구역아이파크자이(4321가구)를 비롯해 송파구 문정동 힐스테이트e편한세상문정(1265가구), 관악구 봉천동 힐스테이트관악센트씨엘(997가구), 강동구 천호동 더샵천호센트럴시티(670가구) 등이 있습니다.
지난달 분양계획 대비 실제 분양 실적은 총가구 수 기준 51%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분양 예정 단지는 37개 단지, 2만9335가구였으나 실제 분양이 이뤄 단지는 21개 단지, 1만4863가구에 그쳤습니다. 원자잿값 상승 등으로 인한 분양가격 상승 압력이 높아지면서 재개발·재건축 조합과 시공사의 분양가 책정 이견, 인허가 기관인 지방자치단체의 분양가 승인 지연 등이 많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분양 예정 물량이 늘어남과 동시에 수도권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 또한 연초 대비 130배 상승했습니다.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인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토대로 수도권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0.28대 1이던 경쟁률이 지난달 36.62대 1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1월 수도권에서는 1649가구가 일반공급 물량으로 나왔는데 여기에 1순위 통장 459개가 신청됐습니다. 2월에는 1582가구 모집에 3348개 통장이 몰리며 1순위 평균 경쟁률이 2.12대 1을 기록했습니다.이어 3월에는 6.74대 1, 4월 8.49대 1, 5월 6.78대 1, 6월 21.95대 1, 7월 9.31대 1로, 1순위 청약 경쟁률이 상승 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지난달에는 3007가구 모집에 11만131개의 1순위 통장이 몰려 평균 경쟁률이 올해 들어 최고치인 36.62대 1을 경신했습니다.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청약 경쟁률 면에서는 연초 대비 130배, 1순위 청약통장 접수 건수로는 240배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원자잿값, 인건비 인상으로 분양가가 끝없이 치솟자, 더 비싸지기 전에 내 집 마련하려는 수요자들이 여태 아껴온 청약 통장을 적극 던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수도권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2251만으로 1년 전(2030만원)보다 10.88% 올랐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