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오르기 전에"...아파트 분양 물량·청약 경쟁률 동반 상승
▷아파트 분양, 지난해 9월과 비교해 52% 늘어
▷아파트 1순위 청약경쟁률,연초 대비 130배 상승
▷분양가 치솟자 내집 마련하려는 수요자들 증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9월 중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이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약 50% 이상 늘어난 가운데, 수도권 청약 경쟁률 또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분양가가 더 높아지기 전에 내 집을 마련하려는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4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분양예정 물량은 3만2345가구로 지난해 9월(2만1337가구)과 견줘 52% 늘어난 수준입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만7920가구, 비수도권은 1만4425가구입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 9122가구, 경기 5869가구, 인천 2929가구가 공급됩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9122가구로 분양 예정 물량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경기 5869가구 △인천 2929가구 순이었습니다.서울에서 분양되는 단지로는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3구역아이파크자이(4321가구)를 비롯해 송파구 문정동 힐스테이트e편한세상문정(1265가구), 관악구 봉천동 힐스테이트관악센트씨엘(997가구), 강동구 천호동 더샵천호센트럴시티(670가구) 등이 있습니다.
지난달 분양계획 대비 실제 분양 실적은 총가구 수 기준 51%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분양 예정 단지는 37개 단지, 2만9335가구였으나 실제 분양이 이뤄 단지는 21개 단지, 1만4863가구에 그쳤습니다. 원자잿값 상승 등으로 인한 분양가격 상승 압력이 높아지면서 재개발·재건축 조합과 시공사의 분양가 책정 이견, 인허가 기관인 지방자치단체의 분양가 승인 지연 등이 많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분양 예정 물량이 늘어남과 동시에 수도권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 또한 연초 대비 130배 상승했습니다.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인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토대로 수도권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0.28대 1이던 경쟁률이 지난달 36.62대 1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1월 수도권에서는 1649가구가 일반공급 물량으로 나왔는데 여기에 1순위 통장 459개가 신청됐습니다. 2월에는 1582가구 모집에 3348개 통장이 몰리며 1순위 평균 경쟁률이 2.12대 1을 기록했습니다.이어 3월에는 6.74대 1, 4월 8.49대 1, 5월 6.78대 1, 6월 21.95대 1, 7월 9.31대 1로, 1순위 청약 경쟁률이 상승 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지난달에는 3007가구 모집에 11만131개의 1순위 통장이 몰려 평균 경쟁률이 올해 들어 최고치인 36.62대 1을 경신했습니다.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청약 경쟁률 면에서는 연초 대비 130배, 1순위 청약통장 접수 건수로는 240배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원자잿값, 인건비 인상으로 분양가가 끝없이 치솟자, 더 비싸지기 전에 내 집 마련하려는 수요자들이 여태 아껴온 청약 통장을 적극 던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수도권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2251만으로 1년 전(2030만원)보다 10.88% 올랐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