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누리호, 발사 무기한 연기된 이유가 뭘까?
▷ 두 번째 누리호 발사 무기한 연기됨
▷ 산화제 탱크 레벨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
▷ 원인 분석해서 발사일 다시 정한다고 함

# 2% 부족했던 첫 번째 누리호
지난해 10월 21일,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만든 로켓 첫 번째 누리호가 발사되었습니다!
누리호는 아름다운 궤도를 그리며 우주로 향했지만, 아쉽게도 최종 궤도 안착에는 실패했습니다.
목표 궤도까지 끌어올려야 하는 3단 엔진 연소가 목표한 시간(521초)보다 빠른 475초에 끝났기 때문입니다.
뒷심이 조금 부족했던 셈이죠.
정부 산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번째 누리호에 많은 노력을 쏟았고, 그 동안 6개월이란 시간이 지나갔습니다.
# 산화제 탱크 센서가 이상해
정부가 정한 2차 누리호의 발사일은
2022년 6월 16일.
원래는 전일인 15일이었으나 기상이 좋지 않아 하루가 밀렸습니다.
하지만 발사 당일인 16일, 갑작스럽게
누리호 발사는 무기한 연기되었습니다.
문제는 전날인 15일에 발생했습니다.
정부는 누리호를 발사대로 이송해서 세운 뒤,
3단으로 이루어진 액체추진기관을 점검하던 중 1단부 산화제 탱크 레벨 센서에 이상이 감지되었죠.
로켓이 하늘로 날아오르기 위해선 산소를 태우는 ‘산화제’가 필요합니다.
이 산화제가 담긴 탱크의 센서, 그러니까 산화제가 얼마나 충전되어
보여주는 센서에서 문제가 드러났습니다.
기체를 눕혔을 때와 세웠을 때 센서 값이 달라야 하는데 두 값이 똑같은 거였죠.
물병으로 비유해보면 이해가 쉬워요. 물이 반쯤 찬 병을 눕히면 물이 입구 부근까지 닿지만, 세우면 수위가 낮아지잖아요.
산화제를 측정해주는 센서에 이상이 생기면 결국 연료를 태울 때 필요한 산소의 양 조절이 어려워집니다.
이는 로켓이 원하는 궤도에 도달하는 데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센서 문제에 대해 원인 분석에 착수했습니다.
다시 상세하게
점검해서 조치가 완료된 이후, 발사관리위원회에 발사일을 정한다고 합니다.
발사하기 전에 센서 문제를 발견한 건 참으로 다행입니다.
하지만 발사일이
정해지고, 발사대로 이동해서 세워지기 전까지 문제점을 찾지 못했다는 점에 대해선 다소 아쉬움이 남습니다.
첫 번째 누리호가 2% 부족했던 만큼, 두 번째 누리호는 신중을 기해서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