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누리호, 발사 무기한 연기된 이유가 뭘까?
▷ 두 번째 누리호 발사 무기한 연기됨
▷ 산화제 탱크 레벨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
▷ 원인 분석해서 발사일 다시 정한다고 함

# 2% 부족했던 첫 번째 누리호
지난해 10월 21일,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만든 로켓 첫 번째 누리호가 발사되었습니다!
누리호는 아름다운 궤도를 그리며 우주로 향했지만, 아쉽게도 최종 궤도 안착에는 실패했습니다.
목표 궤도까지 끌어올려야 하는 3단 엔진 연소가 목표한 시간(521초)보다 빠른 475초에 끝났기 때문입니다.
뒷심이 조금 부족했던 셈이죠.
정부 산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번째 누리호에 많은 노력을 쏟았고, 그 동안 6개월이란 시간이 지나갔습니다.
# 산화제 탱크 센서가 이상해
정부가 정한 2차 누리호의 발사일은
2022년 6월 16일.
원래는 전일인 15일이었으나 기상이 좋지 않아 하루가 밀렸습니다.
하지만 발사 당일인 16일, 갑작스럽게
누리호 발사는 무기한 연기되었습니다.
문제는 전날인 15일에 발생했습니다.
정부는 누리호를 발사대로 이송해서 세운 뒤,
3단으로 이루어진 액체추진기관을 점검하던 중 1단부 산화제 탱크 레벨 센서에 이상이 감지되었죠.
로켓이 하늘로 날아오르기 위해선 산소를 태우는 ‘산화제’가 필요합니다.
이 산화제가 담긴 탱크의 센서, 그러니까 산화제가 얼마나 충전되어
보여주는 센서에서 문제가 드러났습니다.
기체를 눕혔을 때와 세웠을 때 센서 값이 달라야 하는데 두 값이 똑같은 거였죠.
물병으로 비유해보면 이해가 쉬워요. 물이 반쯤 찬 병을 눕히면 물이 입구 부근까지 닿지만, 세우면 수위가 낮아지잖아요.
산화제를 측정해주는 센서에 이상이 생기면 결국 연료를 태울 때 필요한 산소의 양 조절이 어려워집니다.
이는 로켓이 원하는 궤도에 도달하는 데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센서 문제에 대해 원인 분석에 착수했습니다.
다시 상세하게
점검해서 조치가 완료된 이후, 발사관리위원회에 발사일을 정한다고 합니다.
발사하기 전에 센서 문제를 발견한 건 참으로 다행입니다.
하지만 발사일이
정해지고, 발사대로 이동해서 세워지기 전까지 문제점을 찾지 못했다는 점에 대해선 다소 아쉬움이 남습니다.
첫 번째 누리호가 2% 부족했던 만큼, 두 번째 누리호는 신중을 기해서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