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상승에 항공,철강 '울고' 반도체,조선업 '웃는다'
▷항공업계, 달러로 유류비 등 지급해 부담 가중
▷수출 기업이 많은 반도체 업계는 긍정적 평가
▷선박건조대금 달러로 받는 조선사 역시 수혜 업종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원달러 환율이 다시 상승세에 오르면서 주요 산업계가 비명을 지르는 가운데, 일부 업종은 오히려 영업이익이 늘어나면서 미소를 짓고 있습니다.
17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5.6원 오른 1342.5원에 개장한 뒤 장 초반 1343.0원을 잠시 터치했습니다. 지난 5월 17일 기록한 연고점(1343.0원)과 동일한 수준입니다.
원·달러 환율은 오전 10시38분 현재 소폭 하락해 1342.2원을 기록 중입니다.
가장 울상인 곳은 항공업계입니다.항공사들은 보통 달러를 통해 유류비와 항공기 리스비 등을 지급합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환율이 10원 오를 때마다 각각 350억원, 284억원의 장부상 손실이 발생합니다.
달러값이 비싸지면 해외여행 수요가 줄어드는 것도 고민입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환율이 계속 상승하면 거래 비용이 늘고 승객들이 여행을 꺼릴 수 있어 부담되는 상황인게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수출 비중이 큰 철강도 경기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국내 철강사들은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감소한 철강재 총 1537만3000t을 수출했습니다. 수요가 줄면서 철강재 가격도 내림세입니다. 수출 철강재 자격은 올해 1월 평균 t당 1391.1달러였으나, 7월 1287.6달러로 6.1% 하락했습니다.
수출 기업이 많은 반도체업계는 원·달러 환율 상승을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분기 환차익으로 각각 1조3000억원, 4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 증가 효과를 봤습니다.
선박건조대금을 달러로 받는 조선사 역시 강달러 수혜 업종입니다. 첫 주문을 받았을 때보다 달러 가치가 오른 만큼 매출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일례로 17만4000㎥급 액화천연가스(LNG)선 가격은 올해 1월 2억1000만달러에서 지난달 2억4000만달러로 14.3% 올랐습니다. 이 기간에 오른 환율을 고려하면 원화 환산 가격 상승률은 26.2%에 달합니다. 한국조상해양은 지난 2분기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 콜에서 환율 상승에 힘입어 올해 3분기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수요가 급격하게 늘고 있는 태양광 관련 기업들도 수혜가 기대됩니다. 고려해운의 오라클클라우드인프라스트럭처(OCI)는 판매 대금을 달러로 받아 환율 효과를 누릴 수 있다며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