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역대 최고치 고용률에도 웃지 못하는 청년 취업

▷고용률은 역대 최고치인 63.2% 기록…취업자 증가폭은 감소세
▷청년층 취업자 9개월째 감소세…정부, “청년층 고용과 지역 빈일자리에 맞춤 정책 추진할 것”

입력 : 2023.08.10 15:00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7월 고용률이 63.2%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취업자 증가폭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지난 9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68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11000명 증가했습니다.

 

취업자 수는 20213 314000명부터 29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올해 들어 30~40만명 안팎을 유지했던 증가폭은 20만명 선으로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취업자 수는 돌봄수요 증가 등에 따라 보건복지업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1년 전보다 증가세를 보였지만, 건설경기 부진∙기상악화∙반도체 수출감소 등으로 인해 취업자 증가 폭은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청년층(15~29) 취업자 수 역시 9개월째 감소세를 보이며, 부진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청년층 취업자는 20212 142000명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크게 줄었으며, 고용률은 47.0%로 전년보다 0.7% 하락했습니다.

 

통계청은 청년 취업자 수 감소에 대해 기저효과와 인구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9개월째 내리막을 걷고 있는 청년층 고용과 지역 빈일자리에 맞춤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10일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가 개최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 8차 회의에서 방기선 기재부 1차관은 정부는 청년들이 처한 고용 여건과 수요 등을 고려해 세분화한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방 차관은 앞으로 고용은 건설업 경기 부진의 영향이 한동안 이어지고 태풍폭염 등도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한다대면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호조세를 보이면서 전반적 고용 상황을 보여주는 고용률실업률은 견조한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산업 현장의 구인난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주(일정한 곳에 자리 잡고 삶) 여건이 열악한 지역에서는 인력난이 더 심각한 상황이라며 정부는 올해 두 차례에 걸쳐 발표한 빈 일자리 해소 방안의 후속 조치를 면밀히 이행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