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공교육 정상화하라"…광화문에서 울려 퍼진 3만 교사들의 외침

▷2주째 이어진 서이초 교사 추모집회
▷서이초 사망 교사의 49재인 9월 4일까지 토요일 집회 계속되야 한다는 커져

입력 : 2023.07.31 14:46 수정 : 2023.07.31 14:53
 


(출처=제보자 제공)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전국의 교사들이 서이초 교사 사망 사건의 고인 추모와 공교육 정상화를 요구하는 집회를 2주째 이어갔습니다.

 

지난 29일 전국 교사들은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옆 도로에서 ‘7∙29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집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집회는 지난 주말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됐으며, 주최 측은 3만명, 경찰은 2만여명이 모인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특히 특정 교원노조나 단체가 아닌 일선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집회를 열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출처=제보자 제공) 
 

집회 참석자들은 고인이 된 서이초 교사를 애도하는 의미에서 검은색 의상과 마스크를 착용했으며, ‘아동학대처벌법 개정하라’, ‘교사의 교육권 보장하라’, ‘정상적인 교육환경 조성하라등의 구호를 외쳤습니다.

 

이날 집회에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102명의 이름이 담긴 교육 정상화를 위한 성명서도 발표됐습니다.

 

성명서를 대표 낭독한 홍성두 교수는 교육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미래가 없음은 아이들의 미래가 없다는 것이며, 나아가 대한민국의 미래 또한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대한민국의 교육이 현재와 미래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것이라면, 그 책임 또한 우리 모두의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교사 인권의 회복이라는 교육 정상화 시작의 자리에 교사, 학부모, 학생, 교육관계자 모두의 동참을 촉구한다교육 정상화는 학생에게는 학습권을, 학부모에게는 참여권을, 교사에게는 교육권을 보장하는 명확한 원칙의 제도화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서이초 교사 죽음에 관한 진상 규명 비정상적인 민원들을 교육 활동 침해행위로 명확히 규정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 마련 교육 정상화를 위한 법안의 제개정 등을 요구했습니다.

 

한편 교원 커뮤니티에서 서이초 교사의 49재인 94일까지 매주 토요일 집회가 계속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