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규모 美 16위'... SVB 은행 파산이 남긴 시사점
▷ SVB 파산, 금융 불안 최소화한 美 정부
▷ 정부가 직접 나서서 SVB 자산, 부채 인수... 'BTFP' 운영
▷ 정부의 신속한 대응 중요성 증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3월, 미국 실리콘밸리 지역의 이름난 은행 실리콘밸리은행(이하 ‘SVB’)이 파산했습니다.
미국 전체 은행 중 자산 규모가 무려 16위에 달했던 이 은행의 파산은 금융시장의 큰 여파를 미쳤습니다. 주가 폭락으로 인해 소비자가 예금을 다량으로 인출하는 ‘뱅크런’이 일어났고, 그 불안은 다른 은행으로까지 확산되었습니다.
미국 은행권의 불안에 대해 전세계가 주목할 정도로, SVB 파산의 파급력은 컸는데요. 보다 주목해야할 건, SVB의 파산을 대처한 미국정부의 자세입니다. SVB 파산은 미 금융권에 위기를 불러오긴 했으나, 그 기반을 뒤흔들 정도로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진 못했습니다.
금융권의 불안이 확산되지 않도록 미국 정부가 신속하게 대처했기 때문인데요.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새마을금고라는, 명망이 있는 은행의 부실 우려가 나타난 바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새마을금고의 건전성을 직접적으로 보증하며 ‘뱅크런’의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였습니다만, 소비자들의 불안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정부가 SVB 파산에 대처한 자세는 우리나라 정부에게 좋은 대비책이 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있을 새마을금고의 파산에 대응할 수 있는 유용한 시사점이기 때문입니다.
우선 SVB 파산 사건 자체를 톺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국회입법조사처의 ‘SVB 파산사태 이후 미국 정부의 대응과 시사점’에 따르면, SVB 파산의 원인은 크게 △장기채권 투자 위주의 SVB 자산운용 △SVB의 과다한 비보호예금 비율 △중소형은행에 대한
금융규제 완화 △IT 기술 발전에 따른 디지털 뱅크런 현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요.
이 중 SVB 파산의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건 ‘장기채권 투자’입니다. SVB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얻은 많은 예수금을 미국의 국채 및 모기지채권 등 장기채권에 집중적으로 투자했습니다. 이러한 투자 방식은 저금리 기조 하에선 별다른 이상이 없으나, 문제는 미 금융당국이 지속적으로 고금리 기조를 선택했다는 데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채권의 가격과 금리는 반비례 관계로 볼 수 있습니다. 금리가 올라갈수록 소비자가 굳이 채권을 선택할 이유는 점점 줄어듭니다. 예금이 훨씬 더 메리트가 있기 때문입니다. 장기채권일수록 고금리로부터 많은 악영향을 받고, 이는 SVB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입혔습니다.
SVB가 보유한 장기채권의 가치는 급격하게 떨어졌고,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SVB로부터 자금을 인출하기 시작하자 SVB는 어쩔 수 없이 보유한 채권을 헐값에 매각했습니다. 장기채권의 손실을 그대로 받아들인 셈으로, 이러한 SVB의 상황이 시장에 공개되자 많은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자극하여 대규모 뱅크런으로 이어졌습니다.
SVB가 파산하자 미국 정부는 신속하게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먼저, 미국 정부는 ‘연방예금보호법’ 규정에 근거하여, SVB 파산을 ‘금융안정을 위협할 수 있는 시스템리스크’로 해석했습니다. 미국연방예금보험공사(FDIC)를 움직여 SVB의 자산 및 부채를 인수하여 가교은행을 설립했고, 예금보호한도를 초과한 예금에 대해서도 보호조치를 실시했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SVB가 파산했더라도 그 예금을 FDIC를 통해
돌려받을 수 있게 되었으니, 시장의 불안을 크게 완화시킨 셈입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FDIC가 떠맡은 손실은 약 200억 달러로 다소 경제적 부담이 발생하긴 했습니다.
아울러, 미국 정부는 ‘기간대출프로그램’(BTFP)를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BTFP는 예금취급기관에게 국채나 주택저당증권(MBS) 등의 적격자산을 담보로 받고, 해당 증권의 액면가(per value)로 최대 1년까지 자금을 대출해주는 제도입니다. 이 BTFP의 영향력은 컸습니다.
만약 은행이
보유한 채권 가치가 시가가 아닌 액면가로 평가될 경우, 평가손실에도 불구하고 원래 가격대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은행 입장에서는 손실을 감수하고 채권을 매각할 필요없이, BTFP를 통해 대출자금을 받아 예금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동성을
확보한 셈입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이러한 미국 정부의 움직임에서 배울 수 있는 여러가지 시사점을 내놓았습니다. 먼저, “경제주체들의 심리적 불안을 안정시키기 위한 ‘신속하고 과감한 정책 조치’가 중요”하며, “예금자 보호를 위한 정책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IT 서비스의 발달로 인해 소비자들의 금융적 판단과 움직임은 이전에 비해 한층 속도를 얻었기에, 그만큼 정부가 빨리 대처해야 한다는 겁니다. 또, 현 우리나라의 예금자보호법엔 미비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법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이외에도 “금융당국 차원의 적시성 있는 유동성 공급 정책”, “은행 산업의 경쟁 촉진을 위한 제도 개편이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전장연 은 사라져야 합니다 장애인 중 에서도 불쌍한 중증발달장애인 의 보금자리를 공격하여 배 를 불리려하는 일에 혈안 이 되었습니다. 같은 시대에 대한민국 사람으로 산다는게 창피하고 괴롭습다. 당신들은 그곳에서 정의(?)롭게 사시기바랍니다. 제발 귀국 하지 마세요!!!
2서울시가 자립정책 이념에 따라 2021년 폐쇄된 김포시 거주시설 ‘향000’에서 자립한 중증장애인 55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6명이 퇴소 후 3년 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립한 장애인 10.9%가 사망에 이른 통계였다고 하면서, 4명은 다른 시설에 입소했고, 7명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38명은 서울시 지원 주택에서 ‘자립’하고 있는데 이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9명뿐이었다고. 다른 9명은 고갯짓이나 ‘네’ ‘아니오’ 정도의 말만 가능했고, 20명은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분들이었다. 장애인 자립은 죽음이다.
3un 은 장애인들의 자립은 지제장애인, 정신장애인으로 제한한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이다. 최보윤, 김예지. 서미화 의원은 장애에는 여러유형이 있고,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이 있고, 자립할 수 없는 장애인ㅇ이 있다는 것을 먼저 공부하라!!
4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약덕법을 철회하라
5증증장애인시설을 존치하고 확대하라 지금도 집에서 고통받고 있는가족들 구하라 차립할대상은 자립하고 증증은 시설에서 사랑받고 케어해주는 일은 당연 하고 복지국가 로 가는길이다 탈시설 철회하라
6증증발달장애인 시설을 업애려면 전국 병원 용양원 을 업애버려라 자폐 발달 정산지제 증증도 환자도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환자다 탈시설을외치는 자들은 우리 증증아이들을 죽이러 하는가 시설에서 잘사는것도인권이고 평등 사랑이다 탈시설화 철회 하라 시설 존치 신규 시설 늘여야 한다
7전장연 을 해체하고 박경석을구속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