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올해 장마철 차량 침수 피해액만 수억원...피해 줄이는 방법은?

▷11일 집중호우로 하루 새 140여건, 추정 손해액만 약 32억원
▷"물이 높게 차오른 경우 변속기 1단이나 2단으로 둬야"

입력 : 2023.07.12 17:19 수정 : 2023.07.12 17:25
올해 장마철 차량 침수 피해액만 수억원...피해 줄이는 방법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올해 장마철 집중호우로 차량 350여대가 침수 피해로 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특히 일부 지역에 '극한 호우' 긴급재난문자까지 볼송됐던 11일 정오부터 12일 오전까지 하루 동안 140여대가 침수되기도 했습니다.

 

12일 손해보험협회 등에 따르면 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메리츠화재·KB손해보험·롯데손해보험 등 손해보험사에 지난달 27일부터 12일 오전 9시까지 접수된 차량 침수 등 피해는 353건입니다. 추정 손해액은 32억5400만원입니다.

 

앞서 지난달 27일부터 11일 정오까지 차량 피해가 212건, 추정 손해액이 18억5700만원입니다. 11일부터 전국적으로 쏟아진 폭우로 불과 하루 사이에 차량은 141대가 침수 피해를 보고 추정 손해액은 12억9700만원에 달한 셈입니다. 

 

지난 11일 경기도 이천에서는 시간당 64.5㎜의 폭우가 쏟아지고 강원 원주에서 61㎜에 달하는 강한 비가 쏟아지는 등 곳곳에서 기습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11일 오후에는 구로구 구로동 등에 ‘극한 호우’를 알리는 긴급재난문자가 처음으로 발송됐습니다. 동작구 신대방동에 1시간에 72㎜ 이상 비가 내렸기 때문입니다.

 

2018년부터 작년까지 차량 침수 사고는 3만4334건에 달했습니다. 이 중 장마철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7~10월 침수 사고 비중이 전체의 93.6%를 차지했습니다. 지난해의 경우 8월 집중 호우와 9월 태풍 힌남노로 인해 1만6187건의 차량 침수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발생한 차량 침수 사고의 88.6%에 달했습니다.

 

전문가는 많은 양의 비가 쏟아지는 장마철, 침수로 인한 차량고장에 대비하고 침수시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안전요령을 제안했습니다.

 

정태욱 자동차 정비 전문가는 "물이 차량 범퍼보다 높게 차오른 곳을 지나갈 경우 변속기를 1단이나 2단으로 둔 후 한번에 통과하는 것이 좋다. 빠르게 침수지역을 통과할 경우, 차량이 물을 밀어내며 앞쪽 수위가 높아져 엔진으로 물이 들어오는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차량이 침수된 이후 대처방안에 대해 그는 "한 번 침수된 차량은 전기 계통에 물이 스며들어 전기 장치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으니 물에서 빠져나온 뒤에도 무리하게 시동을 걸기보다 반드시 전문가에게 정밀 진단을 받고 습기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시동을 걸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