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침수차만 1만대 육박…침수차 구별법은?

▷ 침수차, 기록적 폭우로 중고차 시장 내 판매될 가능성 높아
▷ 흙과 물로 인해 내부 장치 고장 확률↑…심각한 안전 위협
▷ ‘카히스토리’ 등 침수차 구별법으로 차량 꼼꼼히 확인해야

입력 : 2022.08.18 16:00 수정 : 2022.09.02 14:54
침수차만 1만대 육박…침수차 구별법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최근 기록적인 폭우가 서울 강남과 수도권 등에 쏟아지면서 침수 피해 차량이 1만 대에 육박한다는 집계가 나왔습니다. 손해액은 1620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일각에서는 이 가운데 일부가 정상차로 둔갑해 중고차 시장에 나올 수도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침수차 무엇이 문제인가?

 

침수 차량은 컴퓨터를 물에 빠뜨린 것과 같아 모르고 탑승하면 안전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습니다. 침수 시 흙과 같은 불순물이 차 내부로 유입돼 내부 장치가 고장 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엔진 꺼짐 현상입니다. 차량에 유입된 물이 엔진의 공기 주입구를 막아 엔진을 꺼버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오버홀(분해 수리)을 해서 물을 빼면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지만, 상당한 비용이 들어갑니다.

 

자동변속기에도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일을 교환해도 소량의 물이 남아 클러치의 부풀림, 벨바디의 고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고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안전띠 역시 영향을 받습니다. 최악의 경우, 주행 중 갑자기 시동이 꺼질 수 있고, 합선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구별하나?

 

먼저 보험개발원이 무료로 제공하는카히스토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카히스토리를 발급받으면 침수로 수리 또는 전손 처리됐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자차보험에 가입되지 않았거나, 차주가 보험처리를 하지 않고 수리한 경우 침수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또 침수 여부에 대한 정보가 2~3개월에 한번씩 입력하게 돼 있어 최근에 발생한 경우에는 기록이 없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한계점을 들어 카히스토리를 1차적인 확인 작업으로 생각하는 게 좋다고 조언합니다. 이와 함께 9월 이후 나오는 저가 매물은 특히 조심해서 구매하라고 말합니다.

 

다음으로는 차량 내부의 악취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차량 내부에 물이 들어가면 물이 증발하면서 생긴 곰팡이 등으로 인해 악취가 날 확률이 높습니다. 창문을 모두 닫고 에어컨이나 히터를 틀어 냄새가 난다면 침수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그 외에도 안전벨트에 진흙과 물 때 흔적 있는지, 연료 주입구 홈의 녹슬음을 확인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차량 내부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도 침수차 판별에 도움을 줍니다. 물로 세척하기 힘든 차량 하부의 주요 전장 부품 (ECU:전자제어장치, BCM: 바디제어모듈 등)의 오염 여부를 확인하고 전장 부품 등에 표기된 차량 제조일을 대조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제조일이 서로 다른 경우 최근 침수 등의 피해로 부품 등을 교체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