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초복 앞두고 올라간 닭고기 가격...원인은 공급 부족

▷닭고기 가격 지난해 대비 12.2% 증가한 6360원
▷식약처, 닭 요리에서 발생하는 캠필로박터 식중독 경고 나서

입력 : 2023.07.10 16:40 수정 : 2023.07.10 16:45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초복을 하루 앞둔 가운데 닭고기 가격이 지난해 보다 비싸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7일 기준 kg당 닭고기 소매가격은 6360원으로 지난해 같은 날 5584원 보다 1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닭고기 가격이 높은 이유에 대해 생산비 상승으로 계열화사업자가 사육 규모를 전반적으로 줄였고, 종계의 생산성이 떨어져 육계 공급이 감소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농식품부는 닭고기 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의 부담을 완화해 주기 위해 농식품할인지원사업으로 국내 대형마트 6개사의 협조를 받아 닭고기 소비가 증가하는 6월말부터 7월초까지 40% 이상(농식품부 지원 20% 포함) 할인하여 판매하도록 할인행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닭고기 공급부족으로 인한 가격 폭등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반기 6만톤의 할당관세를 시행했으며, 7월부터 3만톤을 추가하여 수입 닭고기 공급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김정욱 농식품부 축산정책관은 닭고기의 안정적 공급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육계 계열화사업자가 육계 병아리 입식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입식자금을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며 계열화사업자의 육용종계 사육 확대를 지원하여 통해 병아리의 안정적 공급 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했습니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닭 요리를 할 때 발생하기 쉬운 캠필로박터 식중독에 대한 주의보를 내렸습니다.

 

10일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캠필로박터로 인한 식중독은 총 88건 발생했으며, 환자 수는 2157명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캠필로박터는 닭ㆍ오리 등 가금류 및 야생조류의 내장에서 많이 발견되는 세균으로, 발병 시 심한 설사와 발열, 고열, 혈변 등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캠필로박터 환자는 본격적으로 더위가 시작되는 7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발생한 전체 캠필로박터 환자 2157명 가운데 7월에만 983명의 환자가 발생해 전체 발생 환자 수의 46%를 차지했습니다.

 

식약처는 캠필로박터 식중독은 닭고기를 완전히 익히지 않고 섭취하거나 닭 등을 세척한 물이 다른 식재료에 튀어 교차 오염으로 인해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이어 캠필로박터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생닭을 냉장고애 보관할 때 핏물이 다른 식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고의 제일 아래 칸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조리 시에는 교차오염을 막기 위해 생닭을 손질하기 전에 채소류를 먼저 다듬어 준비하고, ∙도마 등의 조리도구를 육류∙생선 등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