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열풍에 줄어든 당 섭취량”…제로 음료 섭취량 2019년 대비 10배 증가
▷한국인 당류 섭취량 WHO 권고기준인 10% 보다 낮은 7.5% 기록
▷어린이∙청소년 3명 중 1명은 당류 섭취량이 WHO의 하루 권고기준 초과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한국인의 당 섭취량이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9일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인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34.6g)은 하루 총열량(1837kcal)의 7.5%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10%)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 2019년 36.8g 보다 약 6% 감소한
수치입니다.
식약처는 제로칼로리 탄산음료∙블랙커피 등의 섭취량이 증가하면서 음료류로부터 섭취하던
당류량이 줄어들었고, 이로 인해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인의 탄산음료 섭취 패턴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제로칼로리 탄산음료 섭취량은 2019년 대비 약 10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블랙커피 섭취량은 같은 기간 82.4에서 88.5g으로 증가했습니다.
다만 어린이∙청소년
3명 중 1명은 당류 섭취량이 WHO의 하루 권고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해당
연령대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여자 어린이∙청소년이 과자류∙빵류 등의 섭취가 증가하고 같은 연령층의 남자에 비해
음료류, 캔디류 등의 간식을 자주 섭취하는 것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등을 지속 제공하여 일상생활에서 균형 잡힌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습니다.
한편 WHO는 제로칼로리 음료에 사용되는 설탕 대체 인공감미료 중
하나인 ‘아스파탐’을 발암 물질로 분류할 것이란 계획을 밝혔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국제암연구소(IARC)는 다음 달 14일 아스파탐을 처음으로 ‘사람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2B군) 물질로 분류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아스파탐은 설탕의 대체품으로 활용되며, 무설탕 음료, 무설탕 캔디 등에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IARC는 화확물질 등 각종 환경 요수의 인체 암 유발 여부와 정도를
5개군으로 분류∙평가하고 있습니다.
위험도가 가장 높은 1군은 ‘발암
물질’로 담배∙석면∙가공육
등이 해당합니다. 바로 아래인 2A군은 ‘발암 추정 물질’로고온의 튀김, 붉은
고기 등이 속해 있습니다.
아스파탐이
분류될 ‘발암 가능 물질’인 2B군은 인체 자료가 제한적이고 동물 실험 자료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지금까지
WHO 산하 국제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아스파탐이
허용된 일일 한도(60kg 성인 기준 12~36캔) 내에서 섭취해도 안전하다고 발표해왔습니다. 하지만 IARC가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지정하면 JECFA의 기준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