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수출 8개월 연속 감소세...원거리 운송비용도 늘어
▷수출액 감소폭 더 커...무역수지 21억 달러 적자
▷미 서부행을 중심으로 수출 컨테이너 운송비용 증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우리나라 반도체 불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5월 수출액은 8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5일 관세청이 발표한 '2023년 5월 월간 수출입 현황 확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같은달 대비 수출은 15.2% 감소한 522억 달러(약 66조 원)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 연속 내리 감소세 입니다. 반면 수입은 14% 감소한 543억 달러(약 69조 원)로 무역수지는 21억 달러(약 3조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품목별로는 자동차(52.9%), 무선통신기기(0.4%) 등 일부 수출이 늘었지만, 반도체(-35.6%)를 비롯해 석유제품(-33%), 자동차 부품(-0.9%), 선박(-49.6%), 가전제품(-38.3%) 등에서 감소했습니다.
국가별로는 주요 수출대상국 중 캐나다(3.2%)를 제외한 중국(-21.1%), 미국(-1.5%), 유럽연합(-3%), 베트남(-13.6%), 일본(-8.4%), 호주(-17.8%), 중동(-2.4%)에서 수출액이 감소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5월 조업일수가 작년 같은 달 보다 1.5일 적었고, 작년 5월 수출이 역대 월간 실적 2위를 기록한 데 따른 역기저효과 등이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작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24억 달러대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월 수입은 기계류(15.4%), 승용차(1.7%), 고무제품(3.7%) 등에서 증가했고, 원유(-16.2%), 제조용 장비(-0.9%), 의류(-6.3%)는 감소했습니다.
국가별로는 주요 수입대상국 중 유럽연합(3.4%), 홍콩(3.4%) 등 증가했고, 중국(-14.8%), 중동(-16.1%), 미국(-16.3%), 일본(-12.6%), 호주(-36.4%), 베트남(-11.7%) 등에서 감소했습니다.
5월 수출 컨테이너 운송비용은 미 서부행은 510만 6000원으로, 4월(474만 5000원)에 비해 7.6% 올랐고 미 동부행은 495만 3000원으로 4월(481만 1000원)보다 3.0% 올랐습니다.또 EU행은 294만 3000원으로 4월(279만 6000원)보다 5.3% 상승했습니다.
원거리 운송비용은 5월에 조금 올랐지만 근거리인 중국, 일본, 베트남행은 계속 내렸습니다. 중국행은 70만 4000원으로 4.2%, 일본행은 90만 7000원으로 2%, 베트남행은 100만 3000원으로 14.6% 각각 내렸습니다.
해상 수출입 운송비은 컨테이너 2TEU 당 운송비용을 말하는 것으로 2TEU란 40피트 컨테이너 단위입니다. 운임뿐만 아니라 각종 할증료, 포워더 수수료까지 포함된 총 비용에 대한 통계입니다.
5월 미국에서 항공으로 수입하는 화물은 6202원으로, 전월보다 10.4% 올랐으며 유럽연합에서 수입하는 항공화물은 6188원으로, 전월보다 10.7% 내렸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7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