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저소득일수록 '물가부담' 커..."서민위한 물가안정 대책 마련해야"
▷소비자물가 상승률 5.1%...1998년 이후 24년만에 최고치
▷"이익집단들의 절제된 자기주장들이 조화를 이룰 필요 있어"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해 고물가에 따른 타격은 청년층보다 고령층에서, 소득 하위층보단 중위층에서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이에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물가안정 대책을 마련해야한다는 전문가의 지적이 나옵니다.
2일 통계청의 '2021년 및 2022년 가구 특성별 소비자물가 작성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을 기록했습니다.이는 외환위기 때인 1998년(7.5%) 이후 24년 만의 최고치입니다.가구주 연령별 물가 상승률은 60세 이상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가구주가 60세인 가구의 물가 상승률은 5.3%이었습니다. 이어 40-59세 가구(5.1%), 39세 이하(4.9%) 순이었습니다.60세 이상 고령층과 39세 이하 청년층 가구의 물가 상승률 차이는 0.4%포인트였습니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물가 부담이 컸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60세 이상 가구의 경우 교통(10.6%)에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음식·숙박(7.8%), 주택·수도·전기·연료(7.4%) 등도 크게 올랐습니다.
39세 이하 가구는 교통(8.8%), 음식·숙박(7.6%), 식료품·비주류음료(6.8%) 등이 상승했습니다.
가구원 수로 보면 2인 이상 가구의 상승폭이 1인 가구보다 더 컸습니다.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물가 상승률은 각각 4.8%, 5.1%로 집계됐습니다.1인 가구는 음식·숙박(7.6%), 주택·수도·전기·연료(4.2%), 교통(8.2%) 등에서, 2인 이상 가구는 교통(10.0%), 식료품·비주류음료(6.0%), 음식·숙박(7.6%) 등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균등화소득을 기준으로 할 때 소득 중위 60%의 물가 상승률은 5.2%로 전체 가구 평균보다 컸습니다.반면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는 각각 5.0%, 5.1%로, 중산층에서 소비자물가 부담이 높았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출신인 박승록 경제학자는 "최근 물가상승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초래된 세계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정부의 물가안정을 위한 대책도 무척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면서 "우류세 인하, 공공요금 동결, 국제유가나 곡물가격 상승과 큰 관련이 없는 교육비 등 서비스업종의 물과관리, 이자율, 재정지출의 조정과 같은 거시정책을 아무리 잘 활용한다고 해도 물가안정을 달성할 획기적인 대안이 없는게 현실"이라고 했습니다.
이어 그는 "외부환경 변화에 대한 소비자들의 현명한 소비행위, 원자재 가격상승에 대한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 정부의 물가안정을 위한 안정적 정책구사, 이익집단들의 절제된 자기주장들이 조화를 이룰 때 물가상승을 최소화 될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1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