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 111.34%p... 3.3% 상승

▷ 5월 소비자물가지수 전월대비 0.3% 올라... 111%p 넘겨
▷ '음식 및 숙박',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등 식품 분야의 물가지수 높아

입력 : 2023.06.02 10:40
5월 소비자물가지수 111.34%p... 3.3% 상승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통계청이 발표한 ‘20235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한 달 동안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3.3%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년동월대비 상승폭으로 따지면 지난 3(4.2%)4(3.7%)보다는 줄어들었지만, 소비자물가지수는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5월 기준으로 107.56%p에 머무르고 있던 소비자물가지수는 올해 5월엔 111.13%p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과 비교하면 지수가 약 11%p 정도 오른 셈으로 물가의 상승폭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전월대비 의류/신발은 3.1%, 주택/수도/전기/연료는 0.5%, 음식/숙박 0.3%. 가정용품/가사서비스 0.7% 등 광범위한 분야의 품목의 소비자물가지수가 오름세를 보였으며, 변동이 없는 품목은 통신입니다. 주류/담배, 교통 등 일부 품목의 경우 소폭 하락했는데요.

 

5월 기준 소비자의 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생활물가지수와 신선식품지수가 각각 113%p, 111.27%p인 만큼, ‘음식 및 숙박’,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가장 높은 건 전년동월대비 7% 상승한 음식 및 숙박’(117.18%p)이며, 그 뒤를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115.81%p),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112.77%p)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최근 정부가 적자를 이유로 요금을 인상하고 있는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의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112.76%p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이 집계한 주요 등락품목을 살펴보면, 다가오는 하반기에 공급 물량 부족이 우려되는 돼지고기가 전월대비 7.5% 올랐습니다. 사과, , 달걀, , 배추 등 일부 농작물도 오름세를 보였는데요. 반면 양파와 오이, 호박, 파프리카 등의 물가는 전월대비 감소했고, 공업제품 중에선 경유와 휘발유의 가격이 소폭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 별로 살펴보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소비자물가지수를 기록한 곳은 강원도이며, 가장 낮은 곳은 서울입니다.

 

# 2인가구/고령층/미취업자/지출 적으면 물가상승률 높아

 

한편, 통계청은 가구특성별 소비패턴 차이에 따른 물가변동을 파악하기 위한 물가지표로서 ‘2021년 및 2022년 가구특성별 소비자물가 작성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의 현실 체감도를 개선하기 위한 실험적 통계인데요. 이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1, 39세 이하, 근로자, 소득/지출 상위 가구의 물가상승률이 낮고, 2인 이상, 60세 이상, 근로자외, 지출 중/하위 가구의 물가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물가상승률을 상대적으로 많이 체감하는 사회적 계층은 2인 가구와 고령층, 미취업자, 소득이 낮거나 소비에 소극적인 가구로 볼 수 있습니다.

 

1인 가구의 경우 소비지출액 비중은 공공요금(주택/수도/전기/연료), 음식/숙박, 식료품/비주류음료 등의 순으로 높았는데, 2인 이상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 공공요금, 음식/숙박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1인가구가 2인 가구에 비해 공공요금에 더 많이 지출하고 있으며, 2인 가구는 음식/숙박보다는 식료품/비주류음료에 소비를 집중시킨 셈입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등락율은 1인가구가 4.8%, 2인가구가 5.1% 올랐습니다. 2인 이상 가구와 1인 가구의 음식/숙박 소비자물가 등락률은 동일했으나 다른 품목에선 2인 이상 가구가 1인 가구를 앞질렀습니다.

 

소비지출액 비중을 소득 별로 살펴보면, 공공요금 인상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균등화소득 하위, 중위, 상위 가구 모두 주택/수도/전기/연료 등 공공요금의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소득하위가구의 공공요금의 소비자물가 등락률이 6.2%로 가장 높았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