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CF100, RE100 부정하는 개념 아냐"
▷ 정부, RE100이 기업에게 주는 부담 우려... 'CF100' 개념 제시
▷ CF100은 무탄소 에너지 개념, 원전-수소 등도 에너지 발전원으로 포함
▷ MBC, "CF100을 외치다가 고립될 수 있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세계적 탈원전 추세를 거스르고 CF100을 외쳤다가는 우물 안 개구리가 된 채 고립될 수 있다”는 MBC의 보도에 반박했습니다.
지난 28일, MBC 스트레이트는 정부의 탈원전 기조를 대대적으로 비판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무역을 떠받치던 두 개의 축, 중국과 반도체가 흔들리면서 한국 경제에 위기가 닥치고 있다는 게 주된 내용인데, 그러면서도 정부는 탄소 중립(RE100)이라는 세계적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MBC는 정부가 만든 새로운 표준 CF100을 언급하며,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모자라는 부분을 원전으로 채우는 점을 직접적으로 겨냥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비중이 다른 나라에 비해 부족할뿐더러, 부족한 발전량을 원전으로 채우는 것도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입니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를 포함한 민관이 무탄소에너지(CFE) 논의를 시작한 것은 RE100을 부정하거나 CF100만을 추진하겠다는 취지가 아니다”라며, “CFE는 RE100을 보완해 병행 추진하면서 우리 기업의 RE100 이행에 따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해보고 이의 국제적인 확산을 시도하기 위함임을 알려드린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과 일본을 인용하며 무탄소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논의에 타당성을 더했는데요.
정부가 제시한 CFE는 무탄소에너지(Carbon Free Energy)의 줄임말입니다.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모든 에너지원을 의미하는 단어로 CF100은 말 그대로 ‘Carbon Free 100%’, RE100(재생에너지 전기 100%)와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정부가 CF100을 거론한 이유는 기존의 RE100이란 표준이 우리나라 기업에게 부담을 주기 때문입니다. 지난 17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포스코 등 에너지 민간기업과 발전사 공기업, 다수의 전문가 등을 불러모아 ‘CFR 포럼’을 구성했습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RE100은 의미 있는 캠페인이나 우리 여건상 기업에 큰 부담이 되는 것도 사실”이라며, “무탄소 에너지 개념을 활용한 포괄적 접근을 통해 우리 현실에 맞는 정책과 제도를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포럼의 출범 배경으로도, “재생에너지 여건은 나라마다 다르다”며, “특히, 우리나라는 일조량과 바람이 부족하다. 또 유럽연합(EU)이나 북미와 달리 전력계통이 고립되어 있어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 확대에 제약이 따른다”고 덧붙였습니다.
즉, 다른 선진국의 RE100 체계를 따라가기엔 우리나라의 환경적 요소가 뒷받침해주지 못한다는 이야기입니다. RE100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선 재생에너지 발전에 그만큼 많은 돈을 써야 하고, 결과적으로 다른 나라보다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집니다. “RE100이 민간의 자발적인 캠페인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국제적인 무역장벽으로 작용하는 것”이란 겁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굳이 친환경에너지를 RE100이란 관점에 국한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RE100으로 대표되는 재생에너지 중심 접근에 따르면 태양광, 풍력 등 사전에 정의된 특성 재생에너지만 친환경으로 인정”, “이러한 접근법에 따르면 최근 주목받는 소형모듈원전, 수소 등과 기술발전에 따른 잠재적 대안을 수용 불가, 기술중립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새롭게 제시한 ‘CF100’이 우리나라에게 매우 유리한 제도라고 설명했습니다.
재생에너지 한계성이 명백한 우리나라로선 CF100제도가 안성맞춤이라는 겁니다.
요약하자면, CF100은 RE100보다는 보다 유연하고 확장된 개념으로, 목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그 수단으로서 원전이 주로 거론된다는 점은 성찰해볼 만합니다.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안전성을 놓칠 위험이 있는 건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