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제주항공·진에어 1분기 최대실적...이유는?

▷제주항공·진에어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
▷일본 동남아시아 등 해외여행 수요 늘어
▷해외여행객 수요 유지되면 2분기도 호실적 가능성 높아

입력 : 2023.05.10 15:05 수정 : 2023.05.10 15:06
제주항공·진에어 1분기 최대실적...이유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코로나19 이후 실적부진에 허덕이던 LCC들의 1분기 실적이 나란히 역대급을 기록했습니다. 해외여객이 일부 정상화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1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진에어는 올해 1분기 매출 3525억원, 영업이익 849억원을 거뒀습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22% 올랐고 464억원의 영업손실은 흑자전환했습니다.영업이익과 매출액, 순이익 모두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생했습니다. 

 

제주항공 또한 코로나를 딛고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 별도 기준 매출 4223억원, 영업이익 70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지난해 1분기보다 423% 늘었고 15분기만에 흑자전환한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면 41% 증가했습니다.

 

#최대 실적 낼 수 있었던 배경은?

 

이들이 이와같이 사상 최대 실적은 낸 데에는 여객 수요가 빠르게 회복하면서 탑승률이 크게 오르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실제 국토교통부 항공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국제선 여객수는 987만757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1분기(61만9204명)보다 약 16배나 늘어난 셈입니다. 

 

특히 LCC는 올해 1분기 541만2909명의 여객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5만2000명)과 비교해 104배 늘어난 것입니다. 이 중 제주항공이 166만9201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진에어가 124만4884명으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LCC 호실적 배경에는 해외여객 정상화가 있다. 지난해 10월 일본 정상화를 계기로 폭발한 해외여행 수요가 올 1분기 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국제선 여객수 증가는 LCC 실적 회복으로 이어집니다. LCC는 여객 사업에 의존하는 특성상 탑승률이 곧 수익성으로 직결될 수밖에 없습니다.

 

#LCC 2분기 실적 전망은?

 

LCC를 중심으로 호실적 행진은 2분기에서 계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외여행 수요가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공급이 큰 폭으로 증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현재 LCC는 신규 기재 확보에 주력하고 있으나, 보잉 등 항공기 제작사의 부품 수급 지연으로 공급이 원활합니다. 코로나 기간에 줄인 항공기를 단시간에 늘릴 수 없는 상황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항공업계 모두가 항공기 부족 현상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비행기에 빈 좌석이 보이는 게 어색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공급이 부족한데 수요가 풍부하면 LCC 입장에서는 비행기 표 가격을 높게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함께 중국 방역 규제 완화가 된다면 실적 개선에 날개를 달아줄 것으로 보입니다.중국 정기편 노선은 LCC가 대형항공사보다 적지만, 관광객 수가 일본보다 월등히 많아 LCC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중국의 방한 관광객은 623만명으로, 같은해 일본 방한 관광객(321만명) 대비 약 두배에 달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