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중 관계 경색에 불안한 항공업계

▷코로나 이전 우리나라 찾은 해외관광객 수 1위
▷윤 대통령 대만 발언으로 한중관계 다시 얼어붙어
▷"결코 좋은 일 아냐...매출회복 늦어질 수 있어"

입력 : 2023.04.27 14:11 수정 : 2023.04.27 14:17
한중 관계 경색에 불안한 항공업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코로나19에서 벗어나고 있는 항공업계가 뜻 밖의 변수를 맞았습니다. 당초 중국 정부가 다음달 초 자국민에 대한 해외 단체관광을 전명 개방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대만 발언으로 한중 관계가 급속히 냉각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이에 일각에서는 중국노선 매출 회복이 늦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2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노동절 황금연휴(4월29일~5월3일)을 앞두고 서울을 포함한 국내에 많은 중국인 관광객들이 찾아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2015~2020년)까지만 해도 중국은 우리나라를 찾은 해외 관광객 수 1위를 차지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항공업계는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대만 발언으로 한국과 중국이 충돌한 것을 두고 정치적 이슈로 중국인 관광객 유입에 영향을 미칠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최근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절대 반대한다"고 언급했는데, 중국은 “타인의 말참견을 허용하지 않는다”며 공격했습니다. 

 

이후 양측 관계는 급속도로 얼어붙었습니다. 중국 리오프닝 이후 항공 노선을 늘리며 유커 방문에 대한 기대감을 키워오던 항공업계에선 오히려 불안감이 커지는 분위기입니다. 

 

일각에선 중국 정부가 단체 관광 재개를 더욱 지연시키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실제 중국 정부는 지난 2월 6일자로 자국민 해외 단체관광 시범 재개 국가를 처음 발표한 데 이어 지난 3월 15일자로 2차 단체관광 시범 재개 국가를 발표했지만 아직까지도 한국과 미국, 일본 등 3개국은 제외된 상태입니다. 

 

항공업계가 이번 일에 신경쓰는 이유는 중국노선이 항공사 매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2019년 기준 대한항공 전체 노선 매출에서 중국 노선이 차지하는 비중은 12%, 아시아나항공은 17%입니다. 중국 노선은 장거리 비행이 어려운 저비용항공사(LCC)의 여객 사업 매출에서도 차지하는 비중이 컸습니다.

 

관광객 숫자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중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관광객들은 2019년 602만3021명을 기록했습니다. 당시 전체 방한 외국인 1750만2756명의 34.4%가 중국인이었습니다. 또 2019년 한국에서 중국을 방문한 여행객도 434만6567명입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한국 단체관광 허가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은 결코 좋은 일은 아니다"면서 "매출 회복 시점이 더 늦어질 수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