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분당 정자교' 유사 구조 교량 1801개 전수조사
▷행안부, "전국 캔틸러버 구조 교량 현황 파악 및 안전점검 실시"
▷성남시, 탄천 횡단하는 17개 교량 보행로 철거하고 재시공 추진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달 붕괴 사고가 발생한 분당 정자교와 유사한 구조로 설계된 교량 1800여개를 대상으로 정부가 전수조사에 나섭니다. 분당 정자교는 한쪽 끝이 고정되고 다른 끝은 받쳐지지 않은 ‘캔틸레버(외팔보)’ 공법으로 설계됐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지자체가 관리하는 분당 정자교와 유사한 캔틸레버 구조 교량 1801개소에
대해 ‘대한민국 안전대전환 집중안전점검 기간’(4월17일~6월16일) 동안 점검에 나선다고 지난 1일 밝혔습니다.
정자교 붕괴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캔틸레버 구조가 지목되고 있는 만큼 전국 캔틸레버 구조 교량 현황을 조사하고
안전점검을 실시하겠다는 방침입니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자체가 관리하는 캔틸레버 구조 교량 총 1801개
중 A등급 42개, B등급
1267개, C등급 이하는 398개, 신규 등록 등 기타 교량은 94개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중 1624개(90.2%) 교량이
건설된 지 10년이 넘었고, 30년이 넘은 교량은 583개(32.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량의 등급은 안전도에 따라 A(우수)부터 E(불량)까지 5등급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B(양호)와 C(보통)은 부재에
결함이 있지만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상태, D(미흡)와 E 등급은 부재 결함으로 사용을 제한 또는 금지해야 하는 상태입니다.
행안부는 붕괴된 정자교의 경우 기존 정기안전점검과 정밀안전점검에서 B와
C 등급을 받았음에도 붕괴 사고로 이어진만큼 등급과 관계없이 모든 교량을 대상으로 점검에 나설 예정입니다.
주요 점검사항은 ▲교량 시설물의 균열,
파손 여부 ▲보행로의 변형 발생 여부 ▲상하수도관
등 시설물 추가 설치로 인한 교량 구조물 손상 여부 등입니다.
행안부는 점검과정에서 위험요인 발견 시 신속한 개선 조치와 함께 필요 시 정밀안전진단 등을 실시할 방침입니다.
한편 성남시는 정자교 보행로 붕괴 사고 후 탄천을 건너는 교량에 대해 긴급 정밀 안전 진단을 벌여 17개 교량 보행로를 철거 후 재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시는 안전진단 결과 17개 다리의 보행로에서 처짐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재시공을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기자회견에서 “건설된 지 30여년이지나 낡고 위험한 교량이 산재한 성남시의 현 상황은 재난지역과 다름이 없다”며 “시민 안전을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해
정부의 빠른 행정∙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정자교 등 탄천 횡단 17개 교량의 보도부 철거와 재시공에 약 1500억원 이상의 재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