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어린이날 파업 예고한 배민라이더...업계 "받아들이기 어려워"

▷기본배달료 3000원을 4000원으로 인상 등 요구
▷요율 인상 결렬되면 어린이날 주문파업 들어갈 예정
▷이용자수 급감하고 있는 상황...소비자부담 커질 수 있어

입력 : 2023.04.27 15:33 수정 : 2023.04.27 15:42
어린이날 파업 예고한 배민라이더...업계 "받아들이기 어려워"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배민 라이더들이 9년째 이어진 기본 배달료 인상을 요구하면서 배달 플랫폼과 배달 라이더 간 대립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라이더들은 요율 인상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공동파업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입니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배민라이더스와 배민커넥터들로 구성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 플랫폼노동초합은 이날 오전 10시 중앙노동위원회 주관으로 배민 물류 서비스 운영사 우아한청년들과 2차 조정회의를 열고 막판 협상을 벌이고 있습니다.

 

단체교섭의 주요 요구사항은 △9년째 동결 중인 기본배달료 3000원을 4000원으로 인상 △기본배달료 지방차별 중단 △알뜰 배달에 대한 기존과 동일한 기본배달료 적용 등 라이더 측 요구 사항과 △주 35시간 근무제의 차별 없는 시행 등 사무직 노조측 요구 사항입니다.

 

앞서 1차 조정 회의에서 기본 배달료 인상을 놓고 노사 간 교섭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습니다. 라이더들은 이날 진행되고 있는 2차 조정회의에서도 교섭이 결렬되면, 내달 1일 오토바이 행진을 시작으로 어린이날인 5일 이용자들과 함께 주문 파업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홍창의 배달플랫폼 노조 위원장은 “최저임금도, 물가도 오르고 있지만 기본 배달료만 멈춰있다”며 “배달료 인상은 이용자 부담 가중이 아닌, 라이더 지급 비율을 늘려 근로 환경을 개선하자는 취지”라고 했습니다. 배민 라이더는 “사측이 우리 정당한 요구에 응답하고, 받아들이길 희망한다”고 했습니다.

 

반면 업계에서는 배달앱 업계가 이를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나옵니다. 배달비가 꾸준히 오르면서 소비자와 자영업자 모두에게 부담이 되고, 이용자수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배달기사에게 지급되는 배달료까지 인상될 경우 결국 소비자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또한 배달앱 업계는 최근 이용자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배달 플랫폼 3사가 영업 전략의 핵심인 수수료와 배달비 조정 카드까지 꺼내 든 가운데, 노조의 요구까지 선뜻 수용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빅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배달앱 3사(배달의민족·쿠팡이츠·요기요)의 앱 사용자(MAU) 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8.5% 감소한 2922만명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배달앱 이용자 수가 3000만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9월 2979만명 이후 5개월 만입니다.

 

한편 배달료 인상에 대한 여론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누리꾼들은 “배달료 4000원으로 올리면 시켜 먹지 않겠다”, “올리는 순간 사람들이 시켜 먹지 않게 되고 그러면 라이더들도 직장을 잃게 될 것”, “소비자 부담은 없다고 배달료를 올리면 본사는 가만히 있겠나”등 배달료 인상에 대해 부정적인 댓글을 올렸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