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한국정부 신뢰도, 일본·프랑스 제쳤다...조사방법은?

▷ OECD 국가 중 7위…2007년 이후 오름세
▷ 역량·가치를 등을 묻는 문항으로 진행

입력 : 2022.07.14 11:00 수정 : 2022.09.02 15:35
한국정부 신뢰도, 일본·프랑스 제쳤다...조사방법은? (출처=OECD 홈페이지)
 

 

‘귀하는 우리 대한민국 정부를 신뢰하십니까?

 

OECD에서 2년마다 발표하는 정부 신뢰도 조사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상 20개 국가 중 7위에 올랐습니다. 일본(24%, 19), 프랑스(28.1%) OECD 주요국들을 앞선 기록인데요.

 

정부 신뢰도는 정부 정책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평가됩니다. 국민들이 정부에 대해 신뢰도가 낮으면 정책에 협조를 하지 않기 때문인데요. 또한 정부 신뢰도가 낮으면 투자 의욕이 감퇴되는 등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어떻게 측정하나?

 

정부 신뢰도는월드 갤럽 폴(World Gallup Poll)’이 조사를 진행하며, 조사 대상국 국민 1000명에게당신은 중앙정부를 신뢰하십니까?(Do you have confidence in national government?)’라고 물었을 때, ‘그렇다(yes)’고 대답한 비율로 측정합니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의 중앙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48.8%로 나타났습니다. 신뢰도 조사는 중앙정부에 대한 신뢰를 묻는 문항에 긍정적으로 답변한 비율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정부신뢰도는 2007 24%, 2011 27%, 2013 23%, 2015 34%, 2017 24%, 2019 39%, 2021 45%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11년부터 2년에 한 번씩 회원국들의 정부신뢰도를 조사하고, '한 눈에 보는 정부' 보고서를 통해 조사결과를 발표해왔습니다.

 

#어떤 걸 묻나?

 

시범 설문조사는 정부의 역량(대응성·확실성가치(개방성·도덕성·공정성) 등을 묻는 38개 문항으로 진행됐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신뢰 조사방식을 지속해서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정부의 역량(대응성·확실성), 가치(개방성·도덕성·공정성)와 관련한 대부분의 문항에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이상의 결과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대국민 소통, 대국민 서비스 만족도·신뢰도, 정부·공무원의 윤리적 측면을 묻는 문항에서는 조사대상국가 중 상위권을 기록했습니다.

 

행정절차에 대한 정보접근성, 교육시스템 만족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이하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세부대상별로는 언론·정당·지방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이상으로, 공무원·경찰·입법기관·사법기관 등에 대한 신뢰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이하로 나타났습니다.

 

한창섭 행정안전부 차관은정부에 대한 신뢰는 국정운영의 핵심동력이다라며 과감한 정부혁신으로 일 잘하는 유능한 정부를 실현하여, 국민들이 믿고 국정을 맡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Best 댓글

1

박주인 의원! 한 입 가지고 두 말한 박주민 의원은 의원 자격없다. 즉각 사퇴하라!

2

박주민 의원은 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김현아 회장님 앞에서 분명히 말했다.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을 폐쇄하고 탈시설 말하는 자립지원법안은 잘못된 법안이라고. 그렇게말했던 보건복지위 박주민 의원이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중증장애인들을 두번 울리는 박주민 의운을 강력히 규탄하면서, 자립지원법안을 폐지할 것을 촉구합니다!

3

잘못된 법안은 불법입니다. 충분한 논의를 거쳐 현실에 맞는 법을 만들어야합니다. 중증발달장애인들에게는 자립지원법안은 생명을 위협하는 법안입나다.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죽음으로 몰고가는 사형법안입니다. 폐지 되어야합니다.

4

사회적 약자를 위해 국가가 질좋은 복지를 고민하고 펼치라는 보건복지위. 그런데 박주민 의원은 사회적 약자 중에서도 의사표현도 못하는 최중증장애인들을 위험의 사각지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을 통과시켰다. 보건복지위는 자립지원법안을 즉각 폐기하라!

5

진정한 민주주의는 약자와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회입니다. 정부와 보건복지부는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소통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왜 장애인을 위한 법안을 채택할때 장애인 중에서도 최 약체인 중증발달장애인의 의견은 외면합니까.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허울좋은 단어로 거주시설을 탈시설시키려는 보건복지부의 정책에 절망감을 느낍니다.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이 죽어나가야 합니까. 얼마나 많은 중증장애인의 가족이 고통을 받아야 합니까. 추운 한겨울에 힘없고 나이많은 부모님들이 자식을 위해서 거리에 나와 이렇게 저항하는 소리를 들어주십시오. 얼마나 어떻게 해야 부당한 정책에 힘없고 불쌍한 중증장애인들을 자식으로 둔 부모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겠습니까. 제발 중증장애인들도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하지 마시고, 지역사회 자립이라는 획일적인 법안을 채택하는 일은 없어야 할것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복지 민주주의를 꿈꾸는 국민들을 위한 길입니다!!

6

김예지, 최보윤! 두 의원은 장애인 이기 때문에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국회의원이 되엇으면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법안을 발의해야 하거늘 발달장애인들을 상대로 활보사업해 돈벌이 하는 장차연들의 주장대로 자립지원법안을 발의했다. 허울만 장애인인 김예지 최보윤은 의원직을 당장 사퇴하라! 천벌을 받을 것이다!

7

24시간 전문복지사 돌봄이 필요한 중증장애인을 사지로 내모는 자립지원법안 폐기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