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에만 종합건설기업 48곳 폐업... 어려움 심화
▷ 2월 기준 국내 건설시장 수주 실적 감소... 민간, 공공 모두 줄어들어
▷ 시멘트, 레미콘 등 물가는 상승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건설 시장의 분위기 역시 좋지 않습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3년 4월 월간 건설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 건설수주는 13.4조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6%, 전월 대비 34.6%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월 기준 실적으로는 지난 3년 사이에 가장 낮습니다. 부동산 수요가 워낙 부진을 겪고 있다 보니, 건설 수주 역시 크게 줄어든 탓인데요.
공공수주와 민간수주가 모두 줄어들었습니다. 2월 공공수주는 4.0조 원으로 전월 대비 -14%, 전년 동월 대비 -3.2%로 나타났습니다. 공공 토목과 비주택 건축 부분이 부진한 탓인데요.
특히, 민간수주의 경우, 지난 1월의 증가세로부터 반전되어 전월 대비 40.6%, 전년 동월 대비 5.2% 감소한 9.5조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비주택 건축 수주가 매우 양호한 양상을 보였지만, 토목과 주택 수주가 부진하여 전반적인 위축세를 견인했습니다.
문제는 건설 물가도 함 상승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생산자물가는 물론 건설공사비지수, 건설기성 디플레이터 등 건설 관련 물가가 모두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레미콘, 봉강 등을 중심으로 한 건설 원자재 가격도 인상되었는데요.
원자재 중 시멘트와 레미콘의 물가 상승세가 눈에 띕니다. 포틀랜드시멘트의 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7.5% 올랐으며, 레미콘은 22.5 증가했습니다.
게다가, 시멘트와 레미콘은 수급까지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지난 6일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직접 현장을 찾아 “건설현장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부처 및 업계와 협의체를 구성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 디플레이터: 일명 가격수정인자, 인플레이션이 갖는 효과를 제거한 물가지수
건설에 드는 비용이 증가하다보니 '건설용 국내공급물가지수' 역시 상승했습니다. 원재료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은 2.2%, 중간재와 생산재는 각각 5.4%, 5.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원재료와 수입 중간재 부문에서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나, 국내 출하 중간재의 상승률이 여전히 5% 이상으로 건설용 생산재의 물가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습니다.
건설시장의 복합적인 어려움은 사업체 현황에서 드러납니다. 지난 3월 기준 종합건설기업의 폐업 건수는 총 48건으로, 전월 대비 10건, 전년 동월 대비 23건이 늘어났습니다. 지난해 9월부터 7개월 연속으로 월 30건 이상 폐업 공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1~3월 중 총 폐업 건수는 119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지난 2012년 1~3월 당시 124건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물론 건설 시장에 부정적인 지표만 나타난 건 아닙니다. 지난 2월 기준, 건설기성액(해당 월에 시공한 공사 금액, 투자 실적)은 13조 원으로 전월 대비 6.7% 올랐습니다.
2022년 2월과 비교해보면 29%나 증가했는데요. 이와 관련,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부문별로 공공과 민간 부문 모두 양호했으며, 특히 민간 부문의 증가세가 전체 기성의 확대를 크게 견인한 것으로 분석한다”고 전했습니다.
건설업 취업자 수도 2월 기준 204만 명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전년 동월에 비해선 0.1% 떨어졌으나 전월 대비 1.2% 증가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