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계약 인지세 갈등 해결하려 정부가 내놓은 해법은?
▷관행적으로 소유권 등기 이전에 납부
▷약 2년전 국세청 법개정 이후 혼란 야기
▷계약자와 사업 주체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권고안 내놔
출처=권익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인지세란 재산에 대한 권리가 창설되거나 변동이 생겼을 때 이를 신고하면서 부과되는 세금을 말합니다. 부동산 관련 인지세의 경우, 부동산을 취득할 때 내 이름을 집주인으로 등록하기 위해 등기소에서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할 때 내는 세금이 이에 해당합니다.
인지세는 관행적으로 소유권 등기 이전 시점에 납부를 해왔습니다. 즉, 신규 아파트 분양권을 소유한 이들의 경우 준공 후 입주 시 등기를 칠 때 계약 조건에 맞는 인지세를 내는 것이
관행이었습니다. 세법상 인지세는 분양가 10억원 이하는 계약서당
15만원, 10억원 초과시는 35만원 수준입니다.
#왜 문제가 됐나?
혼란은 국세청이 2021년 1월
납부지연가산세에 대한 법을 개정하면서 발생했습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모든 미납부자에게 동일하게 300% 부과하던 가산세를, 2021년 1월 1일부터 미납 기간별로 지연 세율을 차등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인지세를 등기할 때 납부하는 세금이라고 생각해왔기 때문에 대부분의 계약자와 시행∙시공사, 건설사 등이 세법 개정안 내용을 놓쳐버렸고
소비자들이 새 아파트를 계약한지 6개월이 지나도록 관련 내용을 인지하지 못해 갑작스럽게 300% 가산세를 적용 받는 상황이 발생하게 됐습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인지세법 1조 2항('2인 이상이 공동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 그 작성자는 해당
문서에 대한 인지세를 연대해 납부할 의무가 있다')을 근거로 않은 분양대행사와 시공사에게 강력하게 항의하거나
공동 책임을 요구했습니다. 반면 분양대행사와 시공사 측은 세대수가 많은 신규아파트 분양 사업의 경우
업체에서 납부해야하는 지연가산세가 커 이를 자신들이 감당하기에 곤란하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공동부담을 권고한 권익위
이에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는
27일 아파트 분양계약 시 인지세를 분양을 받은 사람과 사업 주체가 공동으로 부담할 수 있도록 아파트
표준공급계약서에 부담비율을 나누는 내용을 반영토록 공정거래위원회 제도개선을 권고했습니다.
권익위는 “국민들이 아파트 분양계약 시 인지세를 전액 납부하지 않고
사업주체도 납부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담당부처인 공정위와 협의를
거쳐 아파트 표준공급계약서(안)을 마련했습니다.
특히 인지세 납부 의무와 관련해 ‘계약서 작성시 부담하는 인지세는
갑과 을이 연대하여 납부할 의무가 있다’는 내용을 표준계약서에 직접 상세하게 명시하도록 했습니다.
권익위는 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올해 아파트 분양가 10억원 이하
기준으로 입주 물량 44만2977세대에 대해 330억원가량의 인지세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