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엠버, "지난해 생산된 전기가 역사상 가장 깨끗할 것"
▷ 전기 생산하는데 쓰는 탄소, 올해 처음으로 줄을 것이란 보고서 발표
▷ 태양광, 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지난해부터 크게 강화
▷ 중국이 열쇠... 석탄 발전의 정점 2025년 이전 전
![[외신] 엠버, "지난해 생산된 전기가 역사상 가장 깨끗할 것"](/upload/c9567430790c490da2057fab1a7f8be0.pn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11일, 정부 국무회의에선 ‘탄소중립 녹생성장 기본계획’이 최종 의결되었습니다.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겠다는 이 계획안에 대해 한덕수 국무총리는 “도전적 계획이기에 일부 우려의 목소리도 잘 알고 있으나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해 반드시 도달해야 할 과제”라고 전했는데요. 그만큼 탄소중립은 해결이 시급한 현안 과제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각국도 탄소중립을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정도로, 탄소중립은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 잡은 상황입니다.
특히, EU는 무역에
있어서 탄소 장벽을 세우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원전,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발전에 있어서도 탄소를 최대한 적게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에 대한 선진국들의 관심은 긍정적 결과를 낳을 듯합니다. BBC에 따르면, “올해 세계는 친환경적인 에너지의 전환점(‘turning point’)으로 전기 생산에 화석 연료를 덜 사용할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고 합니다.
이는 지난 코로나19 같은 전염병이나 세계적인 경제 침체라는 이유를 제외하면 처음 있는 일로 그 결과 더 적은 온난화 가스가 방출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BBC가 참고한 보고서는 Ember’s Global Electricity Review의 제4편입니다. 해당 보고서를 작성한 곳은 엠버(Ember)라는, 국제 에너지 싱크탱크입니다. 엠버의 연구진은 전 세계 전력 수요의 93%를 차지하는 국가의 데이터를 살펴보았는데요.
그 결과, 현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전력 생산에서 화석 연료 감축이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평가했습니다.
2021년 기준으로 전기 등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탄소 배출량이 전체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유의미한 분석이라 볼 수 있습니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데 기여한 건 태양열과 풍력 발전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태양광 발전의 경우 전세계에서 24%나 성장했으며, 이는 남아프리카의 연간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규모입니다. 원자력과 수력 발전도 한 몫 했습니다.
2022년에 원자력 및 수력발전은
전 세계 전기의 39%를 생산했습니다. 즉, 2022년에 만들어진 전기가 역사상 가장 ‘개끗한 전기’라고 합니다. (“electricity produced last year
was, in effect, the cleanest ever made”)
보고서를 쓴 연구원들이 주목하는 국가는 바로 중국입니다. 전 세계적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풍력, 태양광 발전 시설의 각각 50%, 40%는 중국에 세워졌습니다.
참고로, 중국은 석탄 발전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했을 정도로, 전 세계에서 석탄 발전을 가장 많이 애용하는 국가입니다.
이와 관련, 데이브 존스 Ember 연구원은 “중국이 풍력, 태양열을 비롯한 모든 종류의 청정 에너지 발전 시설을 만드는 속도로 봐선, 2025년 이전에 중국은 탄소 발전 정점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는 상당히 중요하다”("There is a chance that at the rate that China is building wind and solar and all types of clean generation, that they achieve that peak in coal generation earlier than 2025, which would be significant")고 전했습니다.
즉, 2025년 이후로 봤을 때 중국은 에너지 발전 분야에 있어서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국가가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다만, 에너지 전문가들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제시카 주일(Jessica Jewell) 버건(Bergen) 대학 교수는 “석탄 발전의 초기 정점은 1979년 영국이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탄 발전을 단계적으로 완전히 중단하는데 43년이
걸렸다. 그 예로 영국은 2022년에도 약간의 석탄을 지난해에
사용했다”고 전했습니다. 석탄 발전의 정점이 지나도, 여전히 석탄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남아 있다는 뜻입니다.
제시카 주일(Jessica Jewell) 버건 대학 교수 曰 “청정 에너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40년 혹은 30년 정도의 시간밖에 없다. 우리는 훨씬 더 짧은 시간 안에 전기의
완전한 탈탄소화가 필요하다”(“In order to reach clean energy goals we don't
have 40 or even 30 years, we need to fully decarbonize electricity in a much
shorter time")

댓글 0개
Best 댓글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