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위고라는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참여자들의 토론 내용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건전한 토론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위고라] 이태원 참사, 누구의 책임인가?

본 주제는 찬성/반대가 나뉘지 않은 자율토론 방식입니다.

 

토론기간 : 2022.11.09 ~ 2022.11.22

 

[위고라] 이태원 참사, 누구의 책임인가? 사진상단 왼쪽부터 윤석열 대통령, 이상민 장관, 오세훈 시장, 윤희근 경찰청장, 박희영 구청장, 이임재 경찰서장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지 11일이 지났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참사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참사 당일의 책임 소재를 두고 여러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경찰 책임론

 

우선 이번 참사를 두고 경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3년만에 사회적 거리두기 없는 핼러윈을 맞아 이태원에 젊은 층이 대거 운집할 것이 예상됐는데도 인파 통제와 안전대책 시행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는 겁니다.

 

참사 발생 4시간 전 '압사' 언급이 담긴 112 신고가 접수되는 등 수 차례 위기 신호에도 적절한 대처를 하지 않는 점도 참사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당일 경찰 지휘부의 이해할 수 없는 동선과 태만 등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사고 당일 참사 발생을 모른 채 밤 11시 캠핑장 숙소에서 잠이 들었다가 다음날인 30일 오전 0 14분에서야 보고를 받았습니다.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은 서고 현장 인근인 이태원파출소까지 900m 거리를 차량으로 이동하느라 55분을 허비했습니다

또한 참사 발생 1시간 15분이 지난 뒤에서 참사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적 공분을 샀습니다.

 

#정부 책임론

 

경찰을 관할하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책임론도 나옵니다. 참사 당일 이 장관은 대통령보다 19분 늦게 이태원 사고를 인지했습니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의 대한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박 청장은 수 많은 인파가 몰린 사고 현장 인근을 지나고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와 함께 참사 당일 지역 행사에 다녀왔다고 주장했지만 집안 제사를 다녀온 게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참사 당일 보고를 받고도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하기까지 88분간의 공백이 발생해 늑장 대처가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에 오세훈 서울시장 또한 이태원 참사 책임이 있단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정치권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한덕수 국무총리도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에 대해 일선 경찰부터 대통령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여러분은 누구의 책임이 더 크다고 생각하나요?


 

 
조중환 사진
조중환 기자  highest@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