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라] 윤 정부, 한일관계 개선책...평가는?
![[위고라] 윤 정부, 한일관계 개선책...평가는?](/upload/887be7ca74154a70ae40e1a8ef67ef19.jp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12년만에 이뤄진 한일 정상회담 성과를 두고 정치권과 국민여론이 반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한쪽에서는 양국 간 본격적인 관계 개선에 물꼬를 텄다는 주장을 하는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위안부·독도 문제 등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해 굴욕외교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은 한일 관계 정상화에 첫걸음을 뗏다는 점에서 긍적적인 시각이 많습니다. 미·중 관계가 첨예해지고 북한의 도발 수위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한일 간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는 이번 정상회담에 대해 "한·미·일 3자관계와 한일관계 증진을 위한 한국의 의지를 매우 소중하게 생각한다"면서 "지난주 윤 대통령의 행동이나 여러 발언을 높이 평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외에도 양국 정상의 셔틀 외교가 복원과 전임 정부 시절 중단된 지소미아(GSOMIA·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의 완전 정상화가 선언되는 등 구체적 성과도 있었습니다.
반면 부정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굴욕 외교'란 비판이 나왔습니다. 특히 강제징용 문제를 놓고 일본에게 일방적 양보만 했다는 겁니다.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받은 것은 하나도 없고 내주기만 한 회담"이라며 "한인 양국 정상이 만났지만 끝내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과는 없었다"고 꼬집었습니다. 실제 기시다 일본 총리는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을 위한 한국 정부의 '제3자 변제안'과 관련해 직접적 사과나 유감 표명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와 함께 이번 정상회담에서 독도 영유권, 위안부 문제에 대해 제대로 논의하지 못한 점을 들어 정부를 비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일 정상회담 성과를 놓고 평가가 극과극으로 대치되는 가운데, 여러분은 어떻게 평가하나요?
찬성 : (긍정적 평가)한일 관계 정상화에 첫걸음을 뗏다
반대 : (부정적 평가)강제징용 문제 등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굴욕외교다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잘모르겠어요
5태릉~ 참 좋은 곳이죠 ㅎㅎ 시간되면 아이들이랑 같이 가봐야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6정말 교통편이 힘들긴 하더라구요 ㅠㅠ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7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