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립준비청년, 부처마다 지원 달라…통합 체계 필요성 제기
▷보건복지부·법무부·성평등가족부 분절된 보호체계, 지원 양극화 ▷법무부 관할 청소년 지원 사각지대 놓여…‘플랫폼 노동·채무’ 비율 가장 높아 ▷15세 중도퇴소자·원가정 복귀 아동 지원 미비…단일 자립체계 촉구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이수아 기자 | 2025.11.04

불법사채 피해자 노리는 '솔루션업체' [피해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인터넷 광고 등 피해자 유인해 금전 요구 ▷해결 없이 추가 금전 요구...거절시 독촉하기도
기획·연재 > 심층보도 | 류으뜸 기자 | 2025.08.14

흥국생명, 장기요양 재가·시설 급여 강화한 신규 특약 5종 출시
▷장기요양 등급 판정 이후 필요한 생활밀착형 보장 확대 ▷관련 보험 수급자 늘어...다양한 형태의 이용 수요도 증가
경제 > 금융 | 류으뜸 기자 | 2025.05.08

[위포트] 유기견 안락사 문제 두고 절반 이상 반대...찬성은 42%
위고라 > Weport | 이정원 기자 | 2025.03.28

한채윤 편집위원 "30년 도돌이표 끊어내려면...강력한 지원 필요"
▷29일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실에서 토론회 열려 ▷"성교육자·성교육 전문기관 지원하는 법적 기반 필요"
교육 > 교육정책 | 류으뜸 기자 | 2024.10.29

[폴플러스] “우리의 목을 조르는 법안”… 참여자 90.95%, 서울시 탈시설 조례안 폐지에 찬성
▷ '폐지인가, 존속인가... 서울시 탈시설 조례안' 폴앤톡 결과
POLL > Poll Plus | 김영진 기자 | 2024.07.02

"탈시설 정책은 시한폭탄이나 다름없다"... 장애인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서울시 탈시설 조례안 즉각 폐지"
▷ 3만여 명 넘는 동의 얻은 서울시 탈시설 조례 폐지안, 본격적인 심사 앞둬 ▷ 부모회, "강제적인 탈시설은 폭력이며 인권침해" ▷ 김현아 회장, "앞으로 거주시설은 사회복지의 핵심역할 맡아야"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김영진 기자 | 2024.04.25

[위포트] “중증발달장애인에게 자립 생활 강요해선 안돼”… 참여자 57.14% 반대
▷ '중증발달장애인 등 모든 장애인에게 자립 생활을 강해선 안 된다'는 참여자 대부분
위고라 > Weport | 김영진 기자 | 2024.02.22

환경부, 유기 동물 400마리 수용 가능한 보호시설 오는 4월 개소 예정
▷환경부, 국립생태원 내 유기 야생동물 보호를 위한 시설 4월 개소 ▷유실∙유기동물 인식 개선됐지만, 5명 중 1명은 양육 포기 고려
사회·정치 > 사회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1.24

[위포트] 참여자 절반 이상, "유기동물 지원에 정부가 힘써야"
위고라 > Weport | 김영진 기자 | 2023.11.20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