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Zoom-in] 서울은 14억 돌파, 지방은 거래 ‘올스톱’…부동산 양극화 심화
▷ 강남엔 ‘똘똘한 한 채’ 몰리고, 지방은 매수자 실종 ▷ 농지취득심사·양도세 부담에 외지인도 발길 끊어 ▷ “수입 0원, 폐업 직전”…벼랑 끝에 놓인 공인중개사
기획·연재 > 기획특집 | 이수아 기자 | 2025.08.07
서울 아파트는 거래절벽인데 오피스 시장은 활황...이유는?
▷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 커져 아파트 거래 위축 ▷엔데믹 이후 사무실 복귀 늘어나면서 오피스텔 시장은 '활기'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3.12.21
고금리 이자부담∙집값추락에 밤잠설치는 2030 영끌족
▷기준금리 3.5% 가능성…하우스푸어 전락 우려 ▷전국주택매매량 49.7% 감소…집값도 함께 하락 ▷정부, 특례보금 자리론 한시적 운영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2.12.23
주택거래 '반토막'...원인은?
▷10월 3만 2173건...57.3% 감소 ▷극심한 거래 절벽 속 미분양도 늘어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침체가 원인
경제 > 부동산 | 류으뜸 기자 | 2022.11.30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