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거래 '반토막'...원인은?
▷10월 3만 2173건...57.3% 감소
▷극심한 거래 절벽 속 미분양도 늘어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침체가 원인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기준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주택 거래가 실종되고 미분양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0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10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3만217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만5290건)과 비교해 57.3% 감소했습니다. 지난달(3만2403건)에 비해선 0.7% 감소했습니다.
올해 10월까지 누계는 44만996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9만4239건)과 비교해 49.7%에 그쳤습니다.불과 1년 만에 주택 거래가 반토막 난 셈입니다.
극심한 거래 절벽 속에 미분양도 늘고 있습니다.10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4만7217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지난달(4만1604가구)와 비교했을때 13.5%(5613가구) 증가한 수치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7612호로 지난달(7818호)과 비교했을때 2.6% 감소했고, 지방은 3만9605호로 지난달(1만3791호)과 비교해 17.2% 증가했습니다.준공후 미분양은 7077호로 지난달(7189호)와 비교해 1.6% 감소했습니다.
10월 전·월세 거래량은 20만4403건으로 집계됐습니다.이는 지난달(20만5206건)과 비교해 0.4% 감소한 것이지만 지난해 같은 달(18만9965건)과 비교했을 때 7.6% 증가한 수치입니다.
#주택 거래량 줄고 미분양 늘어난 원인은?
주택 매매 거래량이 줄고 미분양이 늘어난 원인은 기준금리 인상입니다.금리가 급등하니 대출을 받아 집을 사기 어렵게 되고 거래량이 확 줄게 된 것입니다.
실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4일 기준금리를 0.25% 올리면서 지난해 8월 0.5%였던 기준금리는 3.25%를 기록했습니다.
기준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올랐습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 상단은 연 7% 후반(연 7.790%, 29일 기준)으로 8% 진입을 눈앞에 뒀습니다.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역시 금리 상단이 연 8%에 근접했습니다.
금융업계에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으로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내년 초엔 9%까지 오를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지속되는 경제 침체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경기가 좋지 않다보니 향후 집값이 하락할 것이란 불안감이 주택거래를 망설이게 만든다는 겁니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금리 인상보다 무서운거 경기 침체"라면서 "경기가 침체되면 집값이 하락할 것이란 믿음을 더 확고하게 만들어 급매물이 나와도 집을 사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