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폴 플러스] 10명 중 7명..."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우려"

입력 : 2023.07.26 13:19 수정 : 2023.07.26 13:10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위즈경제 폴앤톡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코앞, 얼마나 우려하나요?”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참여자 약 70%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우려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6월 14일부터 7월 26일까지 42일동안 실시됐고, 총 80명이 참여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먼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얼마나 우려하고 있나요?'라는 질문에는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60%를 차지했습니다. '우려하는 편이다' 9.3%, '우려하지 않고 있다' 2.6%, '전혀 우려하고 있지 않다'는 28%를 각각 기록했습니다.

 

참여자는 다양한 이유를 제시하면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참여자 A씨는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누구라도 채취해 검사하도록 해야하는데 일본은 공개하지 않고 안전하다는 과학적 근거만을 믿으라고 한다. 이것이야말로 비과학적 논리 아닌가"라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앞서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일본의 태도에 비판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것이 경제적 이유 때문이라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참여자 B씨는 "일본이 해양방류를 하려는 목적은 하나다. 경제적으로 버리는게 훨씬 더 이득이기 때문"이라며 "돈 때문에 바다를 버리게 할 수 없다. 막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두번째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어패류 등 국내산 수산물 섭취에 어느정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는 61.3%가 '큰 변화가 있을 것이다'(일본산, 국내산 수산물 섭취 중단)고 답했습니다. 이어 '변화가 없을 것이다'(체내에 미칠 염려가 없다고 믿는다)는 30.6%, '조금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섭취를 하되 횟수를 줄일 것이다)는 8%를 각각 기록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세번째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에도 해수욕장을 이용할 의향이 있나요?라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체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 64%를 기록했습니다. 이어 '그렇다(해수욕 등은 체내에 미칠 염려가 없다)', '잘 모르겠다'가 각각 34.6%, 1.3%를 차지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마지막으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우리 정부가 일본산 수산물 수입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는 '현행보다 더 엄격하게 규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49.3%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현행 규정으로 충분하다'(20%), '수입을 완전히 금지해야 한다'(18.6%), '수입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12%) 순입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2일 리투아니아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양 정상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시 모티터링과 정보공유에 합의했으나 여전히 국민 우려는 불식되지 않고 있습니다. 폴 댓글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국민 우려가 불식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일본의 태도입니다. 

 

일본은 오염수 안전성 검증을 위한 주변국의 충분한 정보제공 요구를 외면하고 있습니다. 한국·중국·태평양 섬나라 등은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도쿄전력이 독점하고 있는 오염수 시료 채취를 허용해 달라고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지만, 일본은 끈질기게 거부하고 있습니다. 원전 오염수 방류가 인류 역사상 처음인 만큼, 일본의 투명한 공개정보가 이뤄져야하지만 그것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지 않은 겁니다.

 

정부는 국민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의 방류 안전성 주장에 대해 조금더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 환경에 대한 문제들이 정치 논리에 휘둘리지 않도록 확실한 방향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다양성의 가치가 존중되는 2024년에 구시대적인 교육청 인사들의 인식이 아쉬울 뿐입니다. 저런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자의적 해석으로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을 퇴보시키고 있습니다

2

중증 발달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자립은 탁상행정입니다. 실상을 모르니까 탈시설이라는 말을 쉽게 하는 겁니다. 최소한의 신변 처리도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에게 거주시설은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인 삶의 자리입니다.

3

일반 성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현저히 낮고, 사고발생율이 50% 더 높은 발달장애인의 경우 재난에는 특히 더 취약하여 자립지원주택에서는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며, “특히, 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질병에 노출된 이들을 의료 인력이 충분한 중증장애인 요양시설에서 편안히 거주하게 해야 한다”

4

자립불가능한 장애인을 탈시설로 시설폐쇄를 하려는 의도가 무엇일까요??? 그들이 부르짖는 인권은 이권의 다른 이름입니다 누가 2살의 말도 못하고 죽음도분별하지못해 도로로 뛰어드는 중증장애인을 자립하라고 합니까??? 전장연과 부모연대는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5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으로 이루어진 단체. 지체장애인들은 인지가 비장애인과 같습니다. 자립의 대상은 지체장애인이며, 전국의 너느 거주시설에도 지체장애인은 없습니다. 즉 지체장애인단체인 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닙니다. 무조건 탈시설은 중증장애인에게는 죽음입니다.

6

유호준 의원은 중증장애인과 단 하루라도 살아보고 자립지원조례안을 만들어 보시오. 중증장애인들과 뭘 어떻게 어느만큼 소통하고 이런 정책을 만들었는지 한심하다 못해 우리의 세금으로 이런 의원들의 세비까지 줘야하는 현실이 매우 부끄럽고 참담합니다.

7

모든 장애인의 장애 정도가 다 동등하지 않습니다. “의사표시와 활동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경증장애인, 그것이 거의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책은 달라냐합니다.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들은 자립하고, 사회적 인지기능이 3세정도인 중증발달장애인들은 거주시설에서 보호받아야 합니다. 거주시설은 반드시 존치되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