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기상청이 2일 일본에서 발생한 규모 7.6 강진으로 인한 지진해일이 우리나라 동해안으로 밀려왔다고 2일 밝혔습니다.
앞서 전날(1일) 오후
4시 10분경 이시카와현 노토반도 쪽에서 규모 7.6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2일 기상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
1분경 강원 강릉시 남항진항에서 지진해일이 처음 관측됐습니다.
이번 동해안 지진해일 중 최고 높이는 오후 8시 35분경 강원 동해시 묵호항에서 관측된 85cm였습니다. 이는 지진해일주의보 발령 기준을 넘는 수준입니다.
지진해일주의보는 규모 6.0 이상 해저지진이 발생해 우리나라 해안가에
높이 0.5m(50cm) 이상 1m 미만 지진해일 내습이
예상되는 경우에 발령됩니다.
관측지점별 지진해일 최고 높이(관측시각)는 남항진 28cm, 속초 45cm,
삼척시 임원 33cm, 경북 울진군 후포 66cm로
나타났습니다.
기상청은 “지진해일 높이가 천천히 낮아지고 있지만 당분간은
해안에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일본 강진이 일어난 당시 상황을 담은
영상들이 다수 공유됐습니다.
니가타현 산조시의 한 신사에서 지진을 겪었다는 한 누리꾼의 영상에는 다리를 지나는 물이 심하게 출렁거렸고 석등이
휘청이다 넘어지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또 다른 영상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도로가 숨을 쉬듯이 들썩이는 영상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