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포트] 참여자 절반 이상,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절은 필수”
▷찬성 55.88%, 시대에 따라 무임승차 연령 조절 필요
▷반대 20.59%, 일시적인 해결책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 마련해야
▷중립 23.53%, 진중한 논의가 필요한 시기
(출처=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위즈경제가 ‘”올리냐 마냐” 기로에 놓인 지하철 무임 승차’란 제목으로 ‘위고라’를 진행한 결과, 과반수 이상인 55.88%가 무임승차 연령 조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 조정은 임시방편으로 현행 기준을 유지하며 다른 해법을 찾아야
한다’라고 반대를 선택한 참여자의 비율은 20.59%였고, 중립은 23.53%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위고라는 2월 17일부터 3월 7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34명이 참여했습니다.
#찬성 55.88%, “시대의
변화에 맞춰 무임승차 연령도 조절해야”
이번 토론의 참여자 중 절반이 넘는 55.88%가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을 조정해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여자 A는 “시대에 따라
인구 연령 비율이 계속해서 변하는데, 정책과 제도가 그대로라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며 “세대 갈등으로 변질되기 전에 연령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밖에도 “최근 노인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대를 높여야 한다”, “적자 해결을 위해서는 무임승차 연령 조정이 필수적이다. 안 그러면 지금의 청년들은 미래가 없다” 등의 의견이 있었습니다.
#반대 20.59%, “연령
조정은 일시적, 다른 해법을 찾아야”
반면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정을 반대하는 비율은 20.59%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정의 효과는 일시적이기 때문에 지하철 만성 적자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참여자 B는 “소득이 제한적인 노인들에게 교통비 조차 부담이 될 수 있다”면서“무임승차 이슈가 노인들 복지에 중요한 부분인 만큼 정책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정이 노인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중립 23.53%, 지금이야
말로 진중한 논의가 필요한 시기
한편, 지하철 무임승차 논란을 세대갈등으로 끌고가지 말고 진중한 논의를
통해 해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중립적인 의견도 23.53%로 나타났습니다.
참여자 C는 “적자나는
것도 문제지만, 노인분들도 결국 사회 구성원이니 진중한 토론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고, 참여자 D는
“오랫동안 쌓여있던 문제인 만큼 이번에는 제대로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이밖에도 ‘해외 사례 도입’, ‘정치인들의 조속한 대응’ 등을 요구하는 다양한 의견이 모였습니다.
이번 토론을 통해 많은 이들이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조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한국의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오는
2040년 고령 인구(65세 이상)가 35%에 달해, 인구의
3분의 1이 지하철 무임승차를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됩니다. 이는 심각한 지하철 적자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무임승차 연령 조정이 필요할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하지만 준비되지 않은 연령 조정은 지하철 적자를 해소시키기 보다 또다른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21년 37.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3.5%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6~75세 노인빈곤율은
34.6%, 76세 이상은 55.1%에 달합니다.
이처럼 노인빈곤율이 높은 상황에서 대책없이 무임승차 기준 연령을 높이게 되면 노인들의 이동권이 제약되면서 지하철 이용률도
반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노인들의 고립을 낳고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까지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김호일 대한노인회장도 “무임승차 기준연령을 높이면 교통비 부담 때문에
집에만 있어야 할 노인이 적지 않을 것”이라면서 “노인들이
지하철을 타고 돌아다닐수록 국가 입장에선 건강보험비 지출이 줄고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무임승차 문제는 오랫동안 논의돼 왔지만 구체적인 대안은 마련이 되지 않고 있어 최근 세대갈등으로도 이어지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가 힘을 모아 청년층과 노년층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절충안 제시가 필요할 때가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