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북핵 위협에 핵무기 필요치 않다"...'중국' 역할 강조한 한덕수 총리
▷ 한덕수 국무총리, CNN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핵무기 보유 적절한 방법 아냐"
▷ 중국의 역할 강조하는 한편, 대만과의 영토분쟁 주시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CNN과의 인터뷰 자리에서 북한을 다시 한번 견제하는 한편,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은 북한을 억제하기 위해 핵무기를 보유하는 건 “올바른 방법”(“the right way”)이 아니라고 덧붙였는데요.
지난 1월 11일,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 속에서 “대한민국에 전술핵 배치를 한다든지, 우리 자신이 자체 핵을 보유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 발언으로 인해 정치권 내에서 논란을 빚자,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북한의 태도에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뿐이라며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를 준수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대변했는데요.
★ 핵확산금지조약(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
핵을 갖고 있지 않은 국가가 새로이 핵무기를 마련하는 것과, 핵무기를 가진 국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에게 핵무기를 빌려주는 것을 금지하는 조약. 미국과 러시아,
중국, 영국 등은 물론 우리나라도 가맹되어 있는 상태
흥미로운 건 한 총리의 태도입니다. 한 총리는 지난 2월 6일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윤 대통령의 ‘핵무장’ 발언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그는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대통령계서 현재 상황을 놓고 말씀하신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가정적으로 안보 문제가 나빠졌을 상황에 대비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말씀하신 걸로 생각한다”며 어느 정도 옹호하는 한편, “(자체 핵보유에 대해) 현재로선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전했습니다.
대통령과 국무총리의 생각이 일치하지 않는 셈입니다. 이와 관련해, ‘윤 대통령 자체 핵무장’을 주제로 위즈경제에서 ‘폴앤톡’을 진행한 결과, 참여자의 44%가 ‘핵무기 보유 찬성’, 45.3%가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한 총리는 대한민국의 핵무기 보유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최근 진행된 CNN과의
인터뷰에서 재확인했습니다. 그는 한국이 북한을 견제하기 위해 핵무기를 가질 필요는 없다는 의견을 밝혔는데요. “윤석열 정부가 핵무기를 추진하지 않고 있다”는 미국 국무부의 입장과
일치합니다.
한 총리는 그 이유로 한국의 국방력을 거론했습니다. “우리는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우리의 전쟁 억제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구축했다”면서, 윤석열 정부 집권 이후 억제력 강화에 “많은 강조를 두었다”(“put a lot of emphasis”)고 강조했는데요.
실제로 대한민국 국방부에 따르면, 북핵은 물론 WMD(weapon of mass destruction, 대량살상무기)에 대응하기 위해 킬체인(Kill chain),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대량응징보복 시스템 등을 갖추기 위해 향후 5년 간 331조를 투입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국방R&D 예산을 국방비의 10% 수준으로 확대해 양자, 에너지, 극초음속 등 신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데요. 최근 한미일 삼국의 군사적 공조가 두터워지고 있는 것도 이러한 국방력 강화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 曰 “우리는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게
그들의 평화와 번영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해주고 싶다”(“We would like to let
North Korea know that developing and advancing nuclear capabilities will not
guarantee the peace and prosperity in their country”)
그러면서 한 총리는 북한과 그 주변국의 역할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북한이 핵에 대한 강력한 야욕을 내려놓을 때까지 북한과의 대화 채널을 닫지 않겠다”(“But we are not closing the dialogue channel with North Korea … as long as North Korea is abstaining from their very strong nuclear ambitions”)고 이야기하는 한편, 북한의 주변국들 중 특히 중국의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한국을 포함해 많은 국가가 중국이 글로벌 룰을 준수하는 것을 보고 싶어 한다”며, “우리는 중국이 좀 더 국제 사회의 규칙을 준수하고, 국제 사회로부터 비난받는 국가처럼 행동하지 않기를 (기대) 한다”(“we (expect) China to be more rule-based, not behaving as a country … being condemned by international community”)고 전했는데요.
여기에 중국과 대만 사이의 영토분쟁까지 한국이 눈여겨보고 있다고 언급했으니, 이는 즉 한 총리가 직접적으로 중국을 견제한 셈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