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폴 플러스] 참여자 10명 중 6명…추경 편성에 반대

입력 : 2023.02.20 17:25 수정 : 2023.04.11 13:47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위즈경제 폴앤톡에서난방비 폭탄에 커지는 추경논란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참여자의 65.9%가 더불어민주당이 난방비 폭탄에 대한 대책으로 내놓은 추경편성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23일부터 217일까지 약 2주 동안 실시됐고, 131명이 참여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먼저 난방비 인상이 가계에 얼마나 부담을 주고 있나요?’라는 질문에 부담이 매우 크다고 응답한 참여자가 73.8%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한 부담이 있는 편이다26.2%로 집계됐습니다. 이 응답을 합치면 100%로 사실상 전체 참여자가 모두 난방비 인상에 부담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다음으로 난방비 폭탄에 대한 대책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추경편성을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는 반대한다는 의견이 65.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추경을 반대하는 쪽에서는 추경을 선심성 대책이자 물가 상승을 우려하지 않은 포퓰리즘 정책에 불과하다고 봤습니다. 참여자 A씨는 곶간을 털어서 돈잔치를 하려 하나. 돈이 땅에서 나오나 하늘에서 떨어지나 세금으로 더 이상 떼워선 안 된다고 말했고 참여자 B씨는 겨울이 지나간 상황에서 난방비 돕겠다고 예산 마구 끌어다 쓰면 결국 물가는 더 오를 수 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33.3%는 추경을 찬성한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겨울철 난방비 등이 크게 올라 서민경제가 악화됐지만 정부가 기존 예산만으로 내놓은 대책은 한계가 있다는 생각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잘모르겠다는 응답은 0.8%를 차지했습니다.


출처=위즈경제

 

마지막으로 현재 정부는 취약계층을 위주로 난방비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는10명 중 6(60.3%)취약계층에 대한 집중적 지원이 우선이다를 선택했습니다. 다음으로는 중산층까지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30.2%),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원해야 한다’(5.6%)입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Poll 참여자 대부분은 추경 편성에 대해 반대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추경을 선심성 대책이자 물가상승을 우려하지 않은 포퓰리즘 정책으로 봤기 때문입니다. 실제 한 경제 연구원은 소비자물가에 이어 공공 요금 인상도 줄줄이 대기 중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시중에 대규모 돈이 풀린 경우 물가는 들썩이고 이는 서민층에게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추경으로 일어날 역효과에 대해 밝힌 바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국가채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국회예산정책처 장기재정 전망에 따르면 현행 조세와 복지제도를 유지하더라도 국가채무 규모는 2022 GDP 대비 49.7%에서 2070 186%로 지속적으로 증가한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채무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추경은 자칫 미래세대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정부는 취약 계층 지원을 서두르되 지나친 돈 풀기를 자제해야 합니다. 또 연료비 폭등을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