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위즈경제 폴앤톡에서 “난방비 폭탄에 커지는 추경논란”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참여자의 65.9%가 더불어민주당이 난방비 폭탄에 대한 대책으로 내놓은 ‘추경’ 편성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조사는 2월 3일부터 2월 17일까지 약 2주 동안 실시됐고, 총 131명이 참여했습니다.
먼저 ‘난방비 인상이 가계에 얼마나 부담을 주고 있나요?’라는 질문에 ‘부담이 매우 크다’고 응답한 참여자가 73.8%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한 ‘부담이 있는 편이다’는 26.2%로 집계됐습니다. 이 응답을 합치면 100%로 사실상 전체 참여자가 모두 난방비 인상에 부담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추경을 반대하는 쪽에서는 추경을 선심성 대책이자 물가 상승을 우려하지 않은 포퓰리즘 정책에 불과하다고 봤습니다. 참여자 A씨는 “곶간을
털어서 돈잔치를 하려 하나. 돈이 땅에서 나오나 하늘에서 떨어지나 세금으로 더 이상 떼워선 안 된다”고 말했고 참여자 B씨는 “겨울이
지나간 상황에서 난방비 돕겠다고 예산 마구 끌어다 쓰면 결국 물가는 더 오를 수 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33.3%는 추경을 ‘찬성한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겨울철 난방비 등이 크게 올라 서민경제가 악화됐지만 정부가 기존 예산만으로 내놓은 대책은 한계가 있다는 생각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잘모르겠다’는 응답은 0.8%를 차지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정부는 취약계층을 위주로 난방비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라는 질문에는10명 중 6명(60.3%)이
‘취약계층에 대한 집중적 지원이 우선이다’를 선택했습니다. 다음으로는 ‘중산층까지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30.2%),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원해야 한다’(5.6%)입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Poll 참여자 대부분은 추경 편성에 대해 반대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추경을 선심성 대책이자 물가상승을 우려하지 않은 포퓰리즘 정책으로 봤기 때문입니다. 실제 한 경제 연구원은 “소비자물가에 이어 공공 요금 인상도 줄줄이
대기 중”이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시중에 대규모 돈이 풀린
경우 물가는 들썩이고 이는 서민층에게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추경으로 일어날 역효과에
대해 밝힌 바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국가채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국회예산정책처
장기재정 전망에 따르면 현행 조세와 복지제도를 유지하더라도 국가채무 규모는 2022년 GDP 대비 49.7%에서 2070년 186%로 지속적으로 증가한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채무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추경은 자칫 미래세대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정부는 취약 계층 지원을 서두르되
지나친 돈 풀기를 자제해야 합니다. 또 연료비 폭등을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저도 창원 출신인데 정말 공감되는 글이네요 ㅠㅠ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6자립이 불가능한 장애인을 자립하라고 시설을 없애는것은 중증발달장애인에 대한 폭거입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해 따뜻한 시선으로 기사써주시는 기자님께 감사드립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