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비싼 명품, 자나깨나 위조품 조심!
▷ 적발된 명품 위조 상품만 2,505점. 정품 추정가만 17억 5천만 원
▷ 단기 임대로 상품을 파는 '떳다방'등 주의
▷ 위조 상품 판매업자 잡아내면 포상금 최대 2억 원
#비싼데도 인기가 여전한 명품들
명품(名品)의 인기가 여전합니다.

샤넬, 루이비통, 발렌시아가
등 명품 브랜드의 상품은 고액임에도 불구하고 시중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죠.
백화점이 문을 열자마자 상품을 싹 구매해가는 ‘오픈런’ 현상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요.
롯데멤버스가 발간한 ‘라임 명품 소비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2020년~2021년
명품 구매 건 수가 2018년~2019년보다 23% 증가했다고 합니다.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 심리가 명품 시장에서 폭발하기 시작한 셈이죠.
#명품에 뒤따르는 범죄, ‘위조’
진귀한 소재로 만들어진 명품은 보통 값비싼 가격에 팔립니다.
공식 브랜드에서 자사의 로고를 새겨서 시장에 내놓죠. 브랜드 가치에
높은 점수를 매기는 소비자들은 이들 제품에 열광합니다.
판매자 입장에선 입소문이 날수록, 많은 수익을 거둘 수 있죠. 이러한 특성 때문에 명품에는 항상 ‘위조’라는 범죄가 뒤따릅니다.
공식 브랜드도, 공식 판매자도 아니지만 절묘하게 상품을 따라해서 소비자들을
속이는 것이죠.
명품 시장이 커지면서, 덩달아 위조 시장도 규모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 1월부터 6월말까지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이 적발한 위조 상품 판매업자는 58명, 인터넷
오픈마켓과 동대문, 남대문 일대 대형상가 및 강남, 명동
지역에서 영업 활동을 벌이고 있었죠.
이번에 적발된 위조상품은 그 규모가 상당합니다. 유명 브랜드 의류와 가방, 골프용품 등 총 2,505점으로 정품 추정가로 환산하면 약 17억 5천여 만원입니다.
★ 위조 상품 판매업자는 어떤 물건을 팔고 있을까?
1위: 명품의류 1,013개 (5억 4천만
원)
2위: 귀걸이 300개 (2억 4천만
원)
3위: 팔찌 121개 (1억 5천만
원)
4위: 가방 44개 (1억 4천만 원)
5위: 지갑 119개 (1억 원)
6위: 벨트 110개 (7천만 원)
7위: 골프의류, 벨트, 속옷 등
위조 상품의 목록을 보면 명품의류와 악세사리가 시장에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아울러, 위조 상품 판매업자들이 종류를 이전보다 다변화시키고 있다는
걸 파악할 수 있습니다.
최근 명품을 선호하는 MZ세대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골프용품 등 MZ세대의 이목을 끌만한 위조 상품을 내놓은 것입니다.
위조 상품 판매업자들이 시장에 민감하게 반응한 셈이죠.
위조 상품 판매업자들의 영업 방식은 다양합니다. 빈 점포를 단기 임대해서
위조 상품을 팔다가 사라지거나, 아예 대놓고 박람회에서 위조품을 내놓기도 합니다.
위조한 상품을 진품인 것처럼 속인 건 물론, 해외구매대행을 통해 중국산
위조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기도 했습니다.
이번에 적발된 위조 상품 판매업자처럼, 위조상품을 유통/판매/보관하는 경우에는 상표법에 따라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 처벌을 받습니다.
<오픈마켓 위조상품 구별 팁>
1. 정품과 비교해 품질이 조잡하며 가격이 현저히 낮은 제품
2. 상품 라벨에 제조자, 제조국명, 품질표시 등이 바르게 기재되어 있지 않은 제품
3. 고객 구매 후기 내용 중 정품 여부에 대한 질문이 잦은 경우
4. 정품임을 문의하는 답변에 새제품이라고 답변하는 경우 등
#위조 상품 판매업자 신고하고 최대
2억 원 포상금 받자
서울시는 시민들에게 위조 상품 판매업자에 대한 적극적인 신고를 부탁했습니다.
만약, 결정적인 증거와 함께 범죄행위 신고/제보로 공익증진에 기여할 경우, 서울시 조례에 따라 최대 2억 원의 포상금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는 ‘서울스마트불편신고’라는
스마트폰 앱, 서울시 누리집 민생침해 범죄신고센터,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